출처 http://home.freechal.com/triplecrown/02/4/1540862 (강명석님)

드라마<하늘이시여> 사진=SBS
SBS '하늘이시여‘의 배득(박해미)에겐 세현이란 아들이 있다. 배득은 그를 끔찍하게 사랑해 ’세현이 때문에‘ 의붓딸 자경(윤정희)의 돈을 갈취하고, 자경이 왕모(이태곤)와 결혼한 뒤에는 ’세현이 때문에‘ 자경의 출생의 비밀로 왕모를 협박해 아파트를 뜯어낸다. 그러나 정작 세현이는 드라마에서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고, 덕택에 배득은 혼자 돈을 쓴다. 영선(한혜숙)역시 모성을 이유로 온갖 사건을 벌리지만, 그것은 결국 그에게만 이득이 된다. 그는 모성을 핑계로 친딸을 의붓아들과 결혼시키지만, 그 때문에 친딸을 버린 죄책감에서 벗어나고, 딸을 평생 자신의 곁에 두며, 자경의 출생의 비밀을 덮는 조건이라는 핑계로 첫사랑 홍파(임채무)와 결혼도 한다. 반면 자경, 왕모, 슬아(이수경)등 영선의 자식들은 영선의 죄 때문에 정신적 충격에 시달린다. 이는 ’하늘이시여‘의 모성이 세현이처럼 실체 없이 이름만 존재하여 여성의 욕망을 위한 도구로 이용될 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모든 악행의 이유를 ’자식 때문에‘라고 말하지만, 정작 그 악행을 통해 호의호식하고, 자식을 좋은 집안에 결혼시켜 신분을 유지한 것은 그들 자신이다. 이는 마치 트렌디 드라마가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포기했다는 것과 유사하다. ’하늘이시여‘는 남녀의 사랑대신 모성을 집어넣은 중년의 환타지다. 그러나, 이 환타지는 환타지로만 그치지 않는다. 자식을 핑계로 자식이 절대로 알아서는 안 될 악행마저 저지르는 ’하늘이시여‘의 궤변은 곧 우리 사회의 부모들이 저지른 모든 죄에 대한 무책임한 면죄부를 발급한다. 어떤 악행을 저지른 사람이라도 자식 때문에 저지른 일이라면 용서받을 수 있다. 자경은 “모성이 어떤 건지 다들 아시잖아요.”라며 영선과 배득을 모두 용서하지만, 실상 그것은 자식을 통해 자신의 부끄러운 욕망을 채우면서 자식에게 ’좋은 부모‘소리까지 듣고 싶은 부모의 이기적인 욕심을 드러낸 것 뿐이다. 20여년전. 대중이 사랑했던 것은 SBS <사랑과 야망>의 태준의 어머니(정애리)처럼 굶어 죽을지언정 꼿꼿하게 살 것을 자식에게 가르치는 드라마였다. 하지만 2006년의 우리는 자식을 위해서라면 온갖 패륜을 저지르는 것마저 정당화되는 드라마가 몇차례 연장방영을 하고, 마지막회에는 40%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하도록 만들었다. 이것은 우리가 자식에게 좋은 부모이기 이전에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을 포기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후는 아닐까. 자식 가진 부모라면, 부끄러워해야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