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ㅣ 푸른숲 징검다리 클래식 24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형규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월
평점 :
몇 해 전 TV에서 추천할 때 유명해졌던 이 책을 읽었었다. 불과 몇 해 전이지만 그때만해도 아무 생각도 없이 그저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우화정도로만 생각하고 재미있게 읽었다. 올해에는 내가 좋아하는 푸른숲 <징검다리 클래식 시리즈>로 집어든다. 그때와 지금의 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느낌이 사뭇 다르다. 우선, 생각이 많아졌다는 것. 그리고 반발심이 조금은 드는 작품이 있다는 사실.^^ 그리고 마지막까지 읽으니 왠지 마음의 정화가 된 듯한 느낌이 든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톨스토이의 단편들 중 8편을 묶었다. 이 8편의 단편들은 모두 크게 같은 주제를 담고 있다. 바로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하는 물음에 대한 답. 그것은 결국 "사랑"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8편의 단편을 통해 톨스토이의 인생관을 엿볼 수 있다. <두 노인>, < 세 가지 물음>에서는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그것은 바로 "지금"에 충실한 삶과 "사랑에서 비롯된 관용과 용서"이다. <두 노인>에서는 옐리세이를 통해 성지를 순례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눈 앞의 불쌍한 자들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깨우쳐준다. <세 가지 물음>에서도 매 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항상 선을 행하라고 한다.
톨스토이는 여러 사회 현상들을 비판하고 있기도 하다. <두 형제와 황금>에서는 아무리 주운 황금으로 좋은 일을 베풀었다 하더라도 황금이라는 물질에 유혹되었던 점(사실 난 그것이 왜 나쁜 일인지 100% 이해되지는 않지만..)을 이야기 한다. <사람에게 많은 땅이 필요한가>에서는 땅 때문에 점점 변해가는 파홈을 통해 물질로 인해 인간이 얼마만큼 타락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런가하면 <지옥의 붕괴와 부흥>에서는 현 교회와 정치, 과학, 사회 등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모든 것들 바닥에는 역시 "사랑"이 뒷받침되어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사랑"으로 서로 돕고 용서하며 베푸는 삶을 통해 구원받을 수 있을 거라고 얘기한다.
"이제야말로 정말 깨달았다. 사람들이 자신에 대하여 걱정함으로써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은, 다만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일 뿐, 사람은 오로지 사랑에 의해서만 살아가는 것이다. "... 54p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새삼스레 깨달은 진리라고 해도, 역시나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삶은 쉽지가 않다. 하지만 이렇게 우울한 이 사회에도 우리 몰래 다른 이를 위해 살아가는 천사들이 아주 많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나도.... 사랑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