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 훔치는 도둑
기르답 지음 / 씨엘비북스(CLB BOOKS)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 꿈을 훔치는 도둑이 있다. 그의 나이가 몇인지, 언제부터 이런 일을 시작했는지 그조차도 모른다. 꿈을 훔친 다음 도둑은 바에 앉아 조용히 술을 한잔 한다. 그런데, 그 바로 한 소년이 찾아와 다짜고짜 "내 꿈 훔쳐간 놈 나와'라며 소란을 피운다. 꿈을 도둑맞았기 때문에 왜 돈을 모으는지 알 수가 없다고 했다. 분명 소중하게 간직한 꿈이었을 텐데 말이다. 나도 꼭 꾸고 싶은 꿈이 있다. 그런데, 꿈을 꿀 수가 없다. 어쩌면 이 도둑이 나에게 매일 찾아오는 것일까. 내 꿈을 모두 훔쳐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도둑은 꿈을 훔치고도 보지 않는다. 그냥 가방에 넣어놨다가 한달에 한번 꿈 수집가에게 가져다 주고 보수를 받는다. 꿈을 훔치지만 그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일 뿐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소년을 만나고부터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소년이 자꾸 던지는 질문에 동물이 꾸는 꿈, 식물이 꾸는 꿈을 궁금해 하기도 한다. 어느날, 꿈을 훔치다 한 여인에게 들키게 된다. 꿈을 훔친다 하면 다른 이들은 피식 웃어버리고 말지만 여인은 자신의 꿈을 가져가 달라고 동업을 제안한다. 여인은 왜 꿈을 가져가 달라고 하는 것일까.

사실, 누군가 꿈을 훔쳐간다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들까. 우스갯 소리를 한다고 생각을 했을테다. 하지만 '꿈'이라고 하는 것은 밤에 자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이 이루고 싶은 소망도 '꿈'이라고 한다. 이루고 싶지만 이룰수 없는 미련이 되는 꿈은 악몽과도 같을 수도 있고, 현실에서 이뤄지지 않을 일들을 간절히 바라면서 꿈에서라도 이루기를 바라기도 한다. 문득, 현실에 실현 가능성이 없어도 꿈에서라도 이루기를 바랬었던 적이 있었던 것이 생각난다. 지금은 이 도둑은 내게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꼭 꾸고 싶은 꿈이 있으니 우리집에는 내게는 잠시동안은 찾아오지 않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완벽한 가족
애덤 크로프트 지음, 서윤정 옮김 / 마카롱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크리스와 메건. 그들은 부부다. 오랜 기간 아이를 갖지 못했고, 마침내 부부에게 딸 에비가 태어났다. 하지만, 크리스는 변한것 같았다. 에비의 양육에 도움을 주었으면 좋겠는데, 그러지 못한다. 에비가 태어나고 외적으로는 완벽해 보이는 가족이었지만 메건은 힘이 들었다. 어느날 한 소년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 아이는 크리스가 가르쳤던 제자였다. 마을은 발칵 뒤집혔다. 메건은 쓰레기통에서 피묻은 모자를 발견했다. 아무래도 남편 크리스가 이상하다. '내 남편이 그 아이를 죽인 걸까?'라는 의심이 피어나기 시작했다.

메건과 크리스가 번갈아 화자로 등장한다. 크리스는 분명 비밀이 있다. 그래서인지 메건의 질문에 과도하게 반응하기도 한다. 메건은 자꾸만 남편이 의심스럽다. 괜한 의심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남편이 그 소년을 죽인 것인지. 그러던 가운데 또 다른 소년이 살해된 채 발견된다. 메건은 크리스가 범인임을 확신하고 급기야는 경찰에 신고를 하게 된다.

크리스의 이중생활이었을까, 하지만 크리스와 메건은 꽤 오래 사귄 사이였기 때문에 크리스가 범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분명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예측은 했는데, 전혀 상상하지도 못한 방향으로 이야기는 흘러갔다. 그리고 드러나는 진실. 이런 일이 벌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참으로 안타까운 결말이었다. 가족이기에 더 신경을 써줬어야 하는 부분인데, 가족이라 더 소홀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퍼펙트 데이즈
라파엘 몬테스 지음, 최필원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해부용 시신인 게르트루드를 유일한 벗으로 둔 의대생 테우. 교통사고로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당시 몸을 크게 다쳐 휠체어 신세를 지고 있는 엄마와 살고 있다. 테우는 어느날 파티에서 만난 클라리시에게 반하고 만다. 설문조사를 가장해 클라리시의 정보를 캐낸후 그녀에게 접근해서 고백하지만 그녀는 테우를 거부하면서 모욕을 준다. 테우는 클라리시에게 폭행을 가해 기절시키고 여행용 캐리어에 넣어 납치를 한다. 사랑이라는 것은 양방향으로 이뤄져야 할텐데, 테우는 온전히 일방통행이다. 그리고 클라리시에게 진정제 등의 약물을 주사하면서 그녀가 시나리오 작업을 하기 위해 떠나려 했던 여행지로 도주를 한다.

이 소설은 '사이코 로맨스릴러'라고 하는데, 아무래도 로맨스는 빼야할 것만 같다. 이것은 로맨스라고 이름 붙이기에는 범죄이기 때문이다. 요즘 들어 사랑이라는 이름하에 이루어진 범죄들을 생각해볼때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이 소설의 결말은 정말 맘에 안든다. 너무나도 '권선징악'이라는 틀에 맞춰져서일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많은 범죄를 저지르고도 교묘하게 벌을 피해나가거나 오히려 본인이 피해자라고 말하는 이들이 많은 것을 보면 어쩜 이 소설의 결말이 더 현실적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세상이 정의롭지 못한 가운데, 소설의 결말도 이렇게 나버리면 정말 세상을 살아갈 맛은 나지 않을 것 같다. 소설에서라도 통쾌하게 잘못한 사람을 벌을 받아야 할텐데, 이 소설의 결말은 정말로 실망스럽다.

"사랑에는 늘 어느 정도 광기가 있다. 그러나 광기에도 늘 어느 정도 이성이 있다"란 니체의 말이 맨 앞장에 씌여 있지만, 이 소설의 이야기는 사랑도 광기도 아닌 그냥 범죄 그 자체이다. 현실에서는 이런 일이 절대로 일어나지 않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장이 한 번 뛸 때마다 모든 생명은 죽음을 향해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간다. - P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괜찮다, 안 괜찮다 2 사계절 만화가 열전 20
휘이 지음 / 사계절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심결에 이 책을 빌렸는데, 아.. 이런 이야기인 줄 몰랐다. 환갑도 안 된 나이에 치매에 걸린 엄마와 결혼할 나이에 엄마의 치매를 알게 된 딸의 이야기이다. 고령화 시대가 도래되고 노인성 질환을 앓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노인성 질환 중에 가장 두려워 하는 것이 '치매'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엄마 숙희는 젊은 시절 아빠 때문에 힘들게 살았다. 아빠의 폭행과 폭언으로 엄마는 힘들었고, 이혼했다. 그리고 지호가 단 둘이 살게 되었다. 그런 엄마가 조금씩 이상해졌다. 혹시 치매가 아닐까 의심을 하면서 엄마 나이를 생각하면 아닐꺼라 생각하며 지호는 불안하다. 7년을 사귄 남자친구와 결혼을 고민해야 할 정도이다.

사실, 겪어보면 안 괜찮다. 괜찮다고 나를 다독여도, 괜찮지가 않다. 뒤돌아보면 이상했던 행동들을 일찍 알아채지 못한 후회가 밀려오기 때문이다. 엄마는 나이가 더 들고, 다른 병까지 있어서 거동이 불편해서인지 식구들을 그렇게 많이 힘들게 하지는 않은 편이었다. 어쩌면 사람들은 실제로 겪어보지 않고서 간접적으로 접한 것으로 괜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엄마를 케어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엄마가 아픈 것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어쩌면 요즘 '치매'는 나이가 들어감에 누구나 거쳐가야하는 질환인지도 모르겠다. 당사자나 보호자나 두려워 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매일이 안좋은 날들만 지속되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속도를 늦출수도 있다. 다만, 서로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안 괜찮다'라는 쪽으로 저울의 바늘이 기우는 것만 극복한다면 그리 두려운 일만은 아닌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