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과 고양이... 내가 가장 힘을 쓸 수 없는 존재인것 같다. 예정에도 없던 이 책을 빌려오는데, 바로 '책'과 '고양이'면 충분했다.

고서점을 운영하던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셨다. 부모님이 이혼하고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그리고 할아버지와 살아가던 린타로. 어느 겨울날 할아버지는 주무시다가 돌아가셨다. 아직 고등학생인 린타로는 서점을 정리하고 있는지도 몰랐던 고모와 살게 되었다. 그래서 할아버지의 서점을 정리해야 했다. 그러던 어느날 린타로 앞에 얼굴 고양이 한마리가 나타났다. 더군다나 고양이가 말을 한다. 갇혀 있는 책을 구해달라는 고양이. 린타로는 고양이 얼룩이를 따라 책을 구하려고 나선다.

사실, 린타로가 책을 구하는 과정은 그다지 흥미롭지는 않다. 하지만 이 소설 속 빌런(?)들은 곰곰히 생각해봐야 할 가치는 있다. 그 빌런들은 '가두는 자, '자르는 자', '팔아치우는 자'이다. 이야기를 통해서 작가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책을 읽는 이유는 무엇이냐고?

'가두는 자'는 읽은 책 수로 경쟁하는 지식인이다. 많이 읽는 사람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자르는 자'는 책은 줄거리만 읽으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자이다. '팔아치우는 자'는 책을 팔아서 이익만 올리면 된다고 생각하는 자이다.

과연 나는 책을 어떻게 생각할까? 나이가 들면서 부쩍 책을 읽는 권수는 많아졌다. 예전에는 그냥 읽기만 했는데, 모호했던 책을 나중에 2번을 읽고 나서야(2번을 읽었는데 줄거리도 파악 못했다.) 무슨 책을 읽었는지, 내용이 어땠는지는 기록이 필요할 것 같아, 읽은 책목록을 정리하고 독후감을 쓴다. 그리고 인상 깊었던 책은 여러번 재독도 한다. 영상물로 제작된 것은 잘 보지 않는다. 책과 내용이 조금 달라지게 되는게 싫다. 대충 줄거리는 알지만 세부사항을 알고 싶어 읽어보고 싶은 책이 많다. 과연 죽기전에 다 읽을수나 있을지..

나는 왜 책을 읽는 것인가를 궁금할때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 그걸 가르쳐주는 게 책의 힘이라고 생각해요. 그 힘이 많은 사람에게 용기를 주고 힘을주는 거예요." - P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턱대고 책을 많이 읽는다고 눈에 보이는 세계가 넓어지는 건 아니란다. 아무리 지식을 많이 채워도 네가 네머리로 생각하고 네 발로 걷지 않으면 모든 건 공허한 가짜에 불과해." -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지음, 안정효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 오웰의 <1984 >을 읽을때도 느꼈었지만 어떻게 이 사람들은 이런 상상을 할 수 있었을까 싶다. 당시에 이런 미래 사회가 실제로 올 수 있었을거라 생각했을까.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상상하는 세계가 과연 오게 될까? 물론 나는 상상력이 부족해서 미래 사회를 상상할 수는 없겠지만 말이다.

얼마전에 읽은 정지혜 작가의 < 다마논드호 >에서도 해수면이 상승해서 노아의 방주처럼 만들어진 배에 선택받아 탑승하기는 했지만, 또 그 사회에서 계급이 나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은 인공부화실에서 태어나고 적당한 계급에 따른 양분과 산소 공급으로 그들이 맡은 일들을 하며 행복이라 느끼며 살게 되는 이른바 "멋진 신세계". 노화도 겪지 않고, 소마라는 약물을 통해 고통도 없이 행복을 느끼며 사는 그 곳에서도 역시 누군가에게만 '멋진 신세계'이며 누군가에겐 그 '멋진 신세계'를 만들기 위한 소모품 밖에는 되지 않는 것 같다.

모두가 만족하는 사회는 오지 않을 것 같다. 어쩌면 생태적 지위가 같은 생물들이 자신의 영역을 만들어 대립상황을 줄이려는 것처럼 전혀 남들이 침입할 수 없는 개인적인 영역으로만 구획을 정해야만 신세계가 이루어지는 것일까. 누구나 공평하게 양보하고, 남을 이해했으면 좋겠지만, 나의 이익을 위해서는 남의 생명조차도 가볍게 생각하고 모해하는 세상은 암울할 수 밖에는 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현대사 다이제스트 100 New 다이제스트 100 시리즈 4
김은식 지음 / 가람기획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역사를 읽기를 좋아하다. 고조선 역사도 좀 읽어보기도 했었는데, 아무래도 가장 가까운 조선 역사이야기를 관심을 갖고 읽게 된다. 그것에 비하면 현대사에 대한 이야기는 제대로 접할 수가 없었다. 나름 현대사에 관련된 책도 많았을텐데 왜 만나지 못했는지 참으로 의문스럽다. 혹시 모든 신경이 조선시대에만 꽂혀 있어서인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이렇게 이 책을 만나게 되어 그동안 연관을 짓지 못했던 이야기의 흐름을 알게 되어 참으로 유익했다.

이 책 < 한국현대사 다이제스트100 >에서는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고, 제20대 대통령 선거로 현재 윤석열 대통령을 선출할 때까지인 2022년 3월 9일까지의 주요 사건들 100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개별적인 사건에 대해서 조금씩은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순서대로 엮어진 것을 보니 그 인과관계와 더불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정착시키기 위한 사람들의 노력들을 볼 수 있었다. 초심을 잃은 정치인들에게 내려지는 국민들의 판단은 세월이 지날수록 성숙해지고, '어떤 정치세력도 안심할 수 없는'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본다. 물론, 아직까지 맹목적인 사람들이 남아있긴 하지만 말이다.

우리 현대사에 참으로 관심이 없었던 나 스스로를 반성하게 된다. 내가 기억하고 있던 일들을 만났을때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를 이제서야 알게되었다. 모든 일은 그냥 저절로 일어나는 것은 없다. 반드시 이유가 있게 마련이다. 어느 가을날 다리가 무너졌다는 기사 브리핑이 들려왔다. '어느 대책 없는 나라에서 다리가 무너지는 거야'라면서 뉴스르 보게 되었는데.. 그 대책없는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였다. 한동안 3호선을 타고 지나갈때 보여지는, 가운데가 끊어진 다리는 정말 서글펐다. 그 다리가 다시 연결되고 확장되고 운전을 하면서 지나칠때 마음이 편하지는 않았다. 우리는 왜 '견고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외면한채 '빠른 고속 성장'을 고집했을까.

역사를 되돌아 본다는 것은 반성을 통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함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또 한번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