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제 정서는 상당히 안정되어 있습니다. 20대에는 우울함도 심했고, 조증과 울증을 자주 왔다갔다했죠. 그때만 해도 저는 제가 이렇게 오래 살 줄 몰랐습니다.^^;; 젊은 날에 자살하거나 심각한 질병에 걸려서 빨리 삶을 마감하리라고 예감했습니다. 하지만 예감은 예감일 뿐. 저는 제 예감을 벗어나서 생각보다 오래 살고 있습니다. 너무 오래 살아서 당혹스러울 정도로. 근데 뭐 저보다 더 일찍 죽을 것 같던 우울증이 심한 제 친구가 100세 사는 걸 자신하는 걸 보니 제가 오래 사는 게 딱히 이상한 일은 아니네요. 아마도 스무 살의 청춘에게는, 강렬한 정서적 충동이 삶을 지배하는 걸 벗어나기가 쉽지 않은가 봅니다. 스무 살 청춘에게는 스무 살 청춘의 삶의 방식이 있고, 20대를 벗어난 30,40대에게는 30대와 40대의 삶이 있는 것처럼.

20대를 벗어나서, 30대 초반마저 벗어나니, 감당할 수 없는 우울함이나 조증과 울증의 심각한 변화가 자주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좋은 거죠. 쉽게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의 정서가 안정되어 있다는 말이니까요. 그래도 가끔은, 아주 가끔은, 과거의 친구들인 조증과 울증이 찾아옵니다.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그 친구들이 반갑습니다. 울증이 와서 정신적인 나락을 경험하는 것도, 조증이 와서 하늘을 꿰뚫은 상승의 기분을 느끼는 것도, 어차피 순간이 지나가면 다시 저 자신으로 돌아오는 것을 잘 아니까요. 오늘은 드물게도 조증이라는 옛 친구가 찾아왔습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오랜만에 찾아오면서, 마음 속에 품고 있었던 계획을 실행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증이 불러낸 달려드는 자신감은 바로 글로 이어집니다. 지금 제가 쓰고 있는 글로.

우선 제가 마음속에 품고 있는 계획부터 말해야겠네요. 계획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이 글에서 시작되어 하려는 건, 가장 쉽게 할 수 있고 어려움도 없는 것입니다. 그건 거창하고 거대한 계획이 아닙니다. 어떻게 보면 소소하달 수도 있는 계획인데요, 자세하게 말하면 너무 이야기가 길어지고 복잡해져서 이 글에는 쓸 예정이 없습니다. 줄여서 말해보겠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써온 서평들은 일관성 없이 그때그때마다 떠오른 것들을 마구 쓴 것입니다. 저는 이것의 반대로 어떤 특정한 시점을 바탕으로 일관된 관점에서 서평을 쓰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일관된 관점과 생각의 틀 속에서 움직이지만 서평 자체는 저마다 특색이 있는, 일종의 연작 서평을 써보는 것이죠. 물론 한 번도 실행한 적은 없었습니다. 실행을 못한 이유는, 제가 게을렀고 자신감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조증이 찾아온 김에, 조증이 불러 일으킨 자신감이 글을 쓰라고 하네요. 그래서 시작해보겠습니다. <데미안> 부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시간이 많이 남네요.

시간이 많이 남는 김에 무언가 저 자신에게

또 다른 과제를 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루에 한번씩 글을 쓰는 걸 넘어서서,

다른 무언가를 더 시도해봐야 겠어요.

아직 명확한 건 아니지만 도전은 해보겠습니다.

믿져야 본전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는 서평을 또 쓰려고 했지만,

쓰다가 일이 있어서 그만두었습니다.

한 번 흐름이 끊기니

다시 써지지는 않더군요.

그래서 일단 포기.

오늘도 기회 되면 다시 써 볼 생각입니다.

중요한 건 끊기지 않고 계속 써야한다는 것.

쓰다가 중간에 끊기면 또 쓰지 못 할 것 같아서요.

오늘도 이 글과 더불어

저의 서평쓰기 도전은 계속될 예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일주일에 한 번은 반드시 서평을 써야 해서

어제는 서평을 썼습니다.

신기한 건,

쓸려고 마음 먹고 앉아서 쓰니까

무언가 뚝딱뚝딱 나온다는 점.

허참, 그냥 글을 쓰려고 할 때는 뭔가 안 나오더니

반드시 써야 하는 서평은,

마음 먹으니까 술술 나오네요.

부족한 부분은 있지만,

그래도 일단은 무언가 썼다는 점에서

만족은 합니다.

그래서 오늘도 반드시 써야할 이유는 없지만

다른 책 서평을 써볼 예정입니다.

그럼 저는 또다른 서평을 쓰러 가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들의 말 혹은 침묵
아니 에르노 지음, 정혜용 옮김 / 민음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들의 말 혹은 침묵-아니 에르노

 

이 소설은 십대의 시간을 흘러갑니다. 중학교 졸업에서 고등학교 입학까지의. 아직 자아가 형성되지 못한 소설 속 주인공이자 작가의 분신이자 작가의 자전적 경험의 산물인 십대 소녀 은 불안하고 혼란스럽게 흔들리면서 삶을 살아갑니다. 이제 갓 부모 삶과의 동일화에서 벗어나려는, 자기 자신의 삶으로 걸어가려는 시발점에 위치한 십대인 안의 내면은 혼란스럽기 그지없습니다. 노동자 계층인 부모의 삶에서 벗어나려는, 친구들과 더욱 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싶다는, 강렬한 사랑을 하고 싶다는, 경검해보지 못한 성적 경험을 해보고 싶다는, 다양한 욕망들이 저마나의 주장을 내세우며 내면의 혼돈의 용광로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안은 혼란스럽게 흔들리며 그 시간을 보냅니다. 소설은 어떤 정리나 축약없이, 소녀 내면의 정서를 여과없이 드러냅니다. 두서없이 마구 나열되는 내면의 심리 묘사 앞에서 독자들도 안처럼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허공을 떠다니며 부유하는 말들처럼, 안의 내면에 간직된 정서들은 어떤 고정된 의미도 없이 내뱉어지며 사라집니다. 소녀의 내면은 자신에게 닥친 상황에 따라 천변만화하며, 그에 따라 그녀 내면의 정서를 표현하는 언어들도 무수히 변하며 십대 삶의 비고정성을, 유동성을 표출합니다. 누구나 거쳐가는 십대, 그러나 십대를 겪는 사람에게는 유일할 수밖에 없는, 십대 내면의 경험은 그래서 보편적이면서 특수삽니다. 책을 읽는 독자는 보편적이면서 특수한 십대 내면을 들여다보면서 자신과는 다른, 그러면서도 비슷한 한 십대의 삶을 추체험하게 합니다.

 

책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안은 글을 쓰고 싶다는 욕망 앞에서 자신의 언어를 찾으려고 몸부림칩니다. 하지만 그녀의 노력은 실패합니다. 고등학교 들어가서 맞이한 작문 수업의 글쓰기 과제 앞에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는 식으로. 자기 언어 찾기의 실패는 중학교 졸업과 고등 학교 입학 사이의 여름에 이루어진 사랑의 실패와도 이어집니다. 여름 캠프에 찾아온 대학생과의 사랑은 그녀 자신의 실수가 드러나면서 꿈처럼 사라집니다. 한 여름밤의 꿈과도 같았던 사랑과 성의 경험은 실패로 귀결되면서 언어 찾기의 실패와 이어집니다. 결국 <그들의 말 혹은 침묵>은 실패의 이야기입니다. 자기 언어 찾기의 실패, 성과 사랑의 실패, 더 나아가서는 자아 찾기의 실패. 그러나 안의 삶이 실패한 것은 아닙니다. 아직 안의 삶에는 무수한 시간이 남아 있으니까요. 작은 실패 혹은 작은 성공들이 모여서 삶을 이룬다고 한다면, 안이 책에서 겪은 실패는 어차피 지나갈 실패에 불과합니다. 어차피 지나갈 실패이면서 동시에 미래에서 되돌아 볼 때 과거를 수놓을 추억의 실패. 그건 우리 모두의 실패와도 다름 없을 겁니다. 누구나 겪는 실패이자 오직 자기 자신의 경험으로서의 소중한 실패. 이 실패는 인간들의 무수한 실패에 하나 더 보태진 실패이지만, 아니 에르노에 의해서 문학적으로 형상화됨으로써 빛나는 실패가 되어 책을 읽는 독자들의 뇌리에 남겨집니다. 혼란스러운 십대 내면의 고백들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