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뻐꾸기 알은 누구의 것인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3년 11월
평점 :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의 한 명인 "히가시노 게이고". 일본 추리 작가인 "히가시노 게이고"는 다작작가로 유명하다. 추리소설에 일가견이 있으신 작가님이신데다가 과학 쪽에 아시는 것이 많으신 덕에 소설을 읽다보면 빨려드는 가독성은 너무나 뛰어나신 분이다. 다작작가이신 덕에 작가님의 책을 좋아하시는 팬들도 내용이 '모 아니면 도'라는 것을 알고들 있다. 하지만 나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작가님에 대한 믿음으로 다시 읽게 만드신다. "뻐꾸기 알은 누구의 것인가" 라는 제목을 보면서 예전에 뻐꾸기는 알을 낳으면 자신이 키우지 않고 다른 새의 둥지에 넣어둔다고 한다. 그러면 다른 새는 자신의 알과 함께 뻐꾸기 알도 같이 부화를 시키고 키운다. 하지만 뻐꾸기 알은 부화가 되면 다른 알을 밀어내 버린다고 한다. "굴러온 돌이 박힌돌 뺸다."라는 말처럼 자신만이 그 둥지를 지키고 다른 어미의 먹이를 먹고 자라서 그 새에게 나는 법을 배운다고 한다. 뻐꾸기에게 모성은 없는 것일까? 괜한 호기심까지 자극한다.
우리는 부모의 유전자를 물려 받는다. 엄마의 유전자와 아빠의 유전자를 각각 물려받기에 누구에게 어떻게 물려받은것인지 알 수 없다. 부모들은 아이의 영특한 면이나 재능을 서로 자기에게 물려받았다고들 얘기하지만 정확히 알 수는 없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뻐꾸기 알은 누구의 것인가"에서의 소재 또한 유전자에 관한 이야기이다.
스키선수인 히다는 자신의 아이가 생기면 자신처럼 스키를 가르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그런 생각을 하는 히다의 생각과는 달리 아이는 빨리 생기지 않았다. 결혼한 지 5년만에 생겼다. 히다가 스위스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동안 딸이 태어났음을 하다의 부인인 도요모가 알려왔다. 그렇게 기쁜 소식을 들은 히다는 자신의 스키인생을 접으려고 한다. 자신의 아이에게 스키를 가르치고 자신의 꿈을 딸이 이뤄주기를 바라고 또 바라면서 키웠다. 부인의 예기치 않은 자살로 히다 혼자 아이를 키우면서 살았다. 카자미는 히다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스키에 재능이 있었다. 그런 카자미를 보면서 히다의 마음은 편하지만은 않았다. 자신이 알지 말아야 할 진실 앞에서 괴로울 수 밖에 없었다.
유즈키는 유전자를 분석하여 패턴을 찾고 그런 공통적인 패턴이 유전이라고 얘기하면서 연구를 하는 사람이었다. 히다는 그런 분석 자체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유즈키라는 존재가 계속 싫었을지도 모른다.
"유즈키 씨, 뻐꾸기라는 새는 말이야. 다른 새이 둥지에 알을 낳는다는군. 떄까치나 멧새 둥지에 말이야. 그러고는 다른 어미 새에게 새끼를 키우게 한대. 아나?"
"들은 적 있습니다. 탁란이라고 하는거죠?"
"재능의 유전자란 게 말이야, 그 뻐꾸기 알 같은 거라고 생각해. 본인은 알지도 못하는대 몸에 쓰윽 들어와 있으니 말이야. 신고가 다른 사람보다 체력이 좋은 건 내가 녀석의 피에 뻐꾸기 알을 떨어뜨렸기 떄문이야. 그걸 본인이 고마워하는지 어떤지는 알 수가 없지." p.395 발췌
이번 작품은 너무 많이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을 읽은 탓인지 조금은 실망스럽지만 다음 작품을 기대하면서 평점을 조금 후하게 줬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가가형사 시리즈나 갈릴레오 시리즈가 다시 출간된다면 이번엔 모를 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