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지음, 김욱동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6월
평점 :
#도서협찬 #앵무새죽이기 #하퍼리 #열린책들 #몽실서평단 #몽실북클럽 #도서추천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읽히는 책이라고 표현할 중도로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책인 《앵무새 죽이기》를 리커버판 표지에 반해서 읽을 용기를 내어보았다. 미국 문학 작품 가운데 독자들로부터 가장 사랑받고 있는 작품 중 하나인 《앵무새 죽이기》는 1930년대 미국의 어느 작은 마을 메이콤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주인공인 스카웃은 네 살 위 오빠와 변호사인 아빠와 함께 살아가는 다소 톰보이 기질이 있는 여자아이이다. 스카웃의 학창 시절은 아빠인 에티커스 변호사가 흑인 톰 로빈슨의 변호를 맡기 시작하면서 놀림을 당하게 되어 곤란해지게 된다. 당시는 아직도 인종차별이 만연하여 톰 로빈슨에게 죄가 없음을 알면서도 백인인 유얼의 편을 들기 위해 강간죄를 인정하여 배심원들은 유죄 평결을 내리게 된다. 이에 오빠인 젬과 스카웃은 낙담하게 되지만 동시에 훌륭한 아빠의 인격도 보게 된다. 이와 함께 자신에게 망신을 주었다고 생각한 유얼이 앙심을 품고 젬 남매에게 위해를 가하려던 위기의 순간 젬과 스카웃이 항상 두려워하며 조롱했던 래들리 아저씨가 구해준 것에 따른 감사 표시로 이 소설이 끝난다.
이 책에서는 흑백과 함께 혼혈들의 문제도 약간 다루고 있다. 혼혈은 다문화시대인 현재 그렇게 주목받는 요소는 아니지만 당시에는 흑인과는 또 다른 어떠한 차별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주인공의 눈으로 관찰된 혼혈은 불쌍하면서도 긴 대화를 나누긴 힘든 어떠한 기이한 '종족'으로서의 존재였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혼혈과 외국인을 신기한 눈으로 쳐다보던 옛날이 있었다. 물론 지금도 아주 그러하지 않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일단 신기해하는 단계는 넘어섰다는 것이다. 나와 다르다고 생각하고 신기해하는 것, 이것이 '차별'의 첫 단계가 아닐까.
이 소설에서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바로 소외된 이의 재발견인데, 바로 이웃집 래들리씨이다. 스카웃과 젬, 친구 딜은 학창 시절 비행으로 줄곧 집안에 갇혀 지내는 아서 래들리에 대한 공포와 호기심으로 어린 시절 무모하게 도전하기도 또한 조롱하기도 해가며 멀리해왔다. 그러나 나무 위에 소중한 것들을 놓아두는 것이나 자신의 집에 침입한 젬의 바지를 수선해 준 것 등 의외로 따뜻한 면모를 보여왔던 래들리는 결정적으로 유얼의 해코지에 맞서 젬 남매를 구해준다. 이를 계기로 스카웃의 마음속에 드리워있던 래들리에 대한 편견이 해소되고 화해의 국면을 맞게 된다. 이렇듯 겉모습만 보고, 소문만 듣고 지레 판단해버리는 우리들의 나쁜 편견에 대해 진실을 보라고, 진면목을 볼 것을 종용하는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 그들에겐 분명히 그렇게 생각할 권리가 있고, 따라서 그들의 의견을 충분히 존중해 줘야 해. p.200
🏷️ 아빠의 말이 정말 옳았습니다. 언젠가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서는 그 사람을 정말로 이해할 수 없다고 하신 적이 있습니다. 래들리 아저씨네 집 현관에 서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했습니다. 514p
또한, 이 소설에서 인권운동의 선구자로 보이는 애티커스 변호사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판사가 이 불공정한 재판에서 변호를 맡길 정도로 진솔하며 '정의'의 원칙을 구현하는 인물이다. 정의를 알고, '평등'을 몸소 실천하는 그래서 같은 백인들 사이에서 모진 말과 모욕을 듣지만 포기하지 않는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힘이 없어서 약자 편에 서는 것이 아니라 힘과 능력이 있지만 약자 편에 서는 인물임을 암시한다. 어릴 때 순수한 눈으로 세상을 보지만 조금만 커져도 차별과 억압에 대해 당연시하는 어른이 되어 간다는 사실에 씁쓸해지지만, 에티커스 같은 비범한 사람이 있기에 미래가 암울하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희망을 품게 해주고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책블로그 #북블로그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