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ㅣ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도서협찬 #방구석판소리 #이서희 #리텍컨텐츠 #소리여행 #힐링에세이 #도서추천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문화 콘텐츠 전문작가이신 이서희 작가님의 신간 《방구석 판소리》는 '소리로 떠나는 서사 여행'시리즈의 세 번째 도서라고 한다. 나처럼 어떤 책들이 '소리로 떠나는 서사 여행'시리즈인지 궁금해할 독자들을 위해서 친절하게 작가 소개 글에 적혀 있어 《방구석 오페라》, 《방구석 뮤지컬》이 시리즈의 작품임을 알게 되었다. 서양의 오페라와 뮤지컬에 이어 우리의 음악인 판소리의 등장은 반가웠다. 초등학교 시절 판소리를 잠시 배우던 동생 덕분에 익숙한 '쑥대머리'나 '돈타령', 혹은 국어시간에 지문으로 배웠던 판소리뿐만 아니라 향가, 고전시가, 고전소설까지 만날 수 있는 시간을 안겨주었다.
🏷️ 판소리는 17세기부터 등장한 한국의 전통 음악이자 고전 문학이고 연극입니다. '소리꾼' 한 명이 북을 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노래), 아니리(말), 너름새/발림(몸짓)을 섞어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 하층민을 대상으로 시작된 예술 문화이지만, 18세기에 들어 양반 계층에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했습니다.
판소리의 정의를 시작으로, 판소리의 핵심 요소, 판소리의 구성 요소, 판소리의 음악적 요소, 판소리 용어, 판소리 12마당까지 판소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알려준 후 조선의 오페라 판소리 다섯 마당에 대한 이야기가 시작된다.
'효'라는 인륜의 가장 중요한 덕목을 핵심 주제로 내세운 <심청가>, 단순히 복수와 보상을 그린 이야기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동정과 정의와 부조리를 다룬 <흥보가>, 개인적인 감정을 넘어서 사회적 계급과 권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춘향가>,<구토지설>이라는 이야기에서 발전하여 토끼와 자라의 대립을 통해 약자와 강자 간의 갈등을 상징하여 보여주고 있는 <수궁가>, 중국의 유명한 소설인 《삼국지연의》중 적벽대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판소리인 <적벽가>까지. 판소리와 연관된 이야기는 물론이거니와 책의 이름에 '방구석'이라고 되어 있듯 각 판소리의 대표곡을 바로 만나볼 수 있도록 QR코드가 함께 실려 있어 방에서 쉽게 판소리를 즐길 수 있다.
판소리를 만나보고 나면 타령이 등장한다. <옹고집전>으로 더 익숙한 <옹고집타령>, 장끼가 죽고 난 후 까투리를 양한 욕망을 드러내는 새들의 모습에서 인간의 본성을 보여주는 <장기타령>, 변강쇠와 옹녀의 다사다난한 유랑 생활을 비극적 삶을 보여주고 있는 <변강쇠타령>, 사랑과 희생, 운명과 도덕적 갈등, 그리고 천상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숙영낭자전>까지. 그리고 도솔가, 서동요, 한화가&해가, 처용가, 원가까지 삼국시대의 향기를 만나볼 수 있다.
고전시가에서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으며, 한국사를 배운 모든 이들에게 친숙한 하여가 & 단심가는 반가움을 안겨주었다. 이방원이 새롭게 건국하려는 나라 조선에 와 함께 하자고 이야기하는 <하여가>에 왕에 대한 자신의 충성심을 드러내며 이방원을 따를 수 없다고 이야기하는 <단심가>는 두 개의 마음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 책에는 고전소설 또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산사람과 죽은 사람의 사랑을 다룬 <이생규장전>, 배신의 대가로 악한 자에게는 벌이 떨어지는 우리 전통의 권선징악이 담긴 <옥단춘전>, 금령과 해룡의 끊임없이 고난을 겪으며 성숙한 자아로 성장해 가는 모습을 다룬 <금방울전>, 여성의 권리와 자기 주도적인 삶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정수정전>. 《방구석 판소리》 한 권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그 시절의 정서를 느낄 수 있다. 방에서 편하게 즐길 수 있는 판소리를 들으며 그 세계로 빠져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책블로그 #북블로그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