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영어 책을 집어들었다. 오늘은 술을 너무 많이 마셔서 필름이 끊긴 것을 말할 때 쓰기 좋은 표현이다. 이와 관련된 유용한 표현들이 눈에 띈다.
.
.
.
오늘 만난 표현 중에 개인적으로 좀 생소했던 표현은 ‘to top it off‘ 라는 것이었다. 해석은 ‘설상가상으로‘ 라고 나오고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회화나 가벼운 에세이를 쓸 때 꽤나 자주 쓰이는 표현이라고 한다. 나도 오늘 배웠으니 까먹지 않고 잘 써먹어봐야겠다.

좋은 습관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으나 나는 보통 이런 관용적인 표현이 나오면 해당 단어를 하나하나 쪼개서 임의로 해석해보는 경우들이 종종 있다.

‘to top it off‘ 같은 경우 내 주관대로 해석해보자면 꼭대기(top) 에서 off 가 된 거니까 뭔가 상황이 안좋아졌다는 뉘앙스로 해석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최고의 위치에서 off 가 되었으니 그 상실감도 꽤나 클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이니 그냥 그러려니하고 너그러이 이해해주시길 바란다.)

어쨌든 이런 식의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의 결과로 ‘to top it off‘는 ‘설상가상으로‘ 라는 뜻이라는 걸 머리에 잘 넣어보고자 한다.
.
.
.
이어서 동사 + till sb drop 는 ‘~을 실컷 하다‘ 는 표현인데, 여기서 drop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떨어지다‘ 라는 뜻보다는 ‘쓰러지다‘ 라는 뜻으로 해석하는 게 좀 더 바람직해보인다. 결과적으로 위의 표현을 직역하면 ‘쓰러질 때까지 ‘동사‘하다‘ 뭐 이렇게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 이렇게 해석하니 의역한 ‘~을 실컷 하다‘와 의미가 얼추 통하는 듯하다.

drop은 사전을 찾아보니 목적어가 필요없는 자동사로 쓰일때 이 ‘쓰러지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것 같은데, 이것도 나름 중요한 포인트인듯 하여 잘 기억해보고자 한다.
.
.
.
뒤이어서 gut 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오늘 나온 예문에서 gut 는 명사 앞에서 쓰여서 ‘직감에 따른‘ 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보통 gut feeling 이렇게 뭉쳐서 쓰는 듯 보인다.

마지막으로 살펴볼 어휘로 barf 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이 자체로 ‘토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오늘 나온 예문처럼 barf bag 이라고 해서 ‘구토 봉지‘ 라는 뜻으로 자주 쓰이는 듯하다. 사전을 찾아보니 ‘(비행기 등에 비치된) 구토 봉지‘ 라고도 나온다. 아마도 비행기를 자주 타시는 분들에게는 이미 익숙한 어휘일지도 모르겠다.

He blacked out 걔 필름이 끊겼어

black out은 ‘정신을 잃다‘라는 뜻입니다. 술 마시다가 ‘필름이 끊기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같은 의미로 pass out, faint와 같은 표현도 있습니다. blackout은 명사로 ‘정전‘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유사표현: He passed out - P188

A I woke up with a stiff neck. I‘m not feeling like myself.

B You drank till you dropped last night.

A To top it off*, I think I left my phone in the taxi.

B You remind me of* a friend of mine from university.

A He must be a real party animal*.

B He blacked out and even threw up sometimes.

A 자고 나니 목이 뻐근해, 내 몸이 아니야.

B 어젯밤에 엄청 마셨나 보구나.

A 설상가상으로, 택시에 휴대폰을 두고 내렸나 봐.

B 너 보니 대학교 때 동창 녀석 생각난다.

A 그 사람도 파티광이었나 보네.

B 필름도 끊기고 심지어 가끔 토하기도 했지.


기타표현체크

• to top it off 설상가상으로

• party animal 파티광

• remind A of B A에게 B를 생각나게 하다 - P188

wake up with a stiff neck 자고 나니 목이 뻐근하다

A This morning I woke up with a stiff neck.

B Every day I wake up with a terrible headache.

A 오늘 아침에 일어나니 목이 뻐근하던데.

B 난 매일 아침 일어나면 머리가 깨질 듯 아파. - P189

동사+till sb drop ~을 실컷 하다

A How did you know today is my payday?

B My gut feeling told me. Will you shop till you drop?

A 오늘이 내 월급날인 걸 어떻게 알았어?

B 직감으로 알았지. 실컷 쇼핑 할 거야? - P189

black out (술에 취해) 필름이 끊기다

A I blacked out on the ground last night.

B You drank too much. Four glasses is your limit.

A 어젯밤에 필름이 끊겨서 땅바닥에 쓰러졌어.

B 너무 많이 마셨구나. 네 주량은 네 잔이잖아. - P189

throw up 토하다

A I feel like throwing up. I need a barf bag.

B Lower your window and get some fresh air.

A 나 토할 것 같아. 구토 봉지가 필요해.

B 창문 내리고 맑은 공기를 마셔 봐. - P1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 개의 파랑 - 2019년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
천선란 지음 / 허블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고 싶은 이야기가 정말 많지만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말은 행복이 고통을 이긴다는 것이었다. 비록 시간을 되돌릴 수는 없지만 과거에 입은 상처가 심리적이든 물리적이든 관계없이 지금 이 순간 행복하다면 그런 상처들은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 것임을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록비 2025-07-25 06: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기억해둘만한 좋은 코멘트네요.

즐라탄이즐라탄탄 2025-07-25 07:11   좋아요 1 | URL
예 댓글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되시길 바랍니다!
 

오늘 읽기 시작한 부분에서는 연재와 지수가 오랫동안 함께 준비했던 대회에 출전하는 장면이 나온다. 대학 입시에서 가산점을 많이 받을 수 있는 큰 규모의 대회라 참가자들의 수도 많았고 해외 경험이나 유학 등을 다녀온 학생들도 적지 않았기에 경쟁자들의 수준도 꽤나 높아보였다. 연재는 사실 과거에 이와 비슷한 대회에 홀로 출전했다가 아쉽게도 수상에는 실패했던 경험이 있었던지라 자기도 모르게 긴장하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든든한 지원군(?)인 지수와 함께 나와서였는지 예전만큼 긴장하지는 않는 듯 보였다.

하지만 연재와 지수 팀의 순서에 앞서 발표하는 팀들의 모습을 보며 연재는 자신이 준비한 내용이 부실한 건 아닌가 하는 걱정에 빠지고 만다. 그때 지수가 연재의 손을 잡으며 무언의 메시지를 보낸다. 그게 바로 처음 밑줄친 문장이다.

물론 인생은 결국 혼자라는 말이 있기도 하지만 이렇게 자기 자신의 마음을 컨트롤하는 것이 힘들 때는 이 소설에 나오는 지수와 같이 바로 옆에서 힘이 되어주는 사람이 존재함으로 인해 새로운 힘을 얻고 위기를 극복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진정한 친구의 가치라는 게 바로 이런 게 아닐까 싶다.
.
.
.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연재가 거동이 불편한 자신의 친언니인 은혜를 생각하며 아이디어를 낸 ‘소프트휠-체어‘ 를 대회 심사위원들 앞에서 발표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연재가 말했던 문장들을 보면서 왠지모를 뭉클함 같은게 느껴졌다.
.
.
.
이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투데이가 다시 경주에 나서는 모습이 나온다. 솔직히 여기까지 읽은 독자라면 어떤 반전이 있기는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한 번 쯤은 했을 듯하다. 다만 개인적으로 예상했던 것과는 조금 다른 반전이었기에 끝까지 긴장감을 놓지 않고 읽어나갈 수 있었다. 결말이 내 예상과 다르긴 했지만 그까짓게 뭐 대수인가. 그저 이 소설을 읽는 동안 행복했기에 그걸로 만족한다.

이 작품이 과학문학상 수상작이다보니 본 소설이 끝나고 관계자 분들의 심사평이 이어진다. 심사평을 읽어보니 심사위원들이 어떤 기준으로 작품을 평가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어서 여러 모로 도움이 되었다. 글을 쓸 때 참조하면 좋을 듯하다.

책의 맨 마지막에 나오는 작가의 수상 소감에서 자신은 소설을 쓰고, 플롯을 짜고, 인물을 구체화시키는 것 등을 좋아하지만 그 이유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는 고백을 한다. 그러면서 예전에는 그 이유를 찾고자 애섰지만 이제는 그 이유를 찾으려 하기보다는 그저 그냥 즐겁게 글을 쓰겠다고 말한다. 어쩌면 자신이 이 작품을 통해 예상치 못하게 받은 과학문학상처럼 그 이유도 갑자기 알게 될 거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었다.

작가의 수상 소감을 읽으면서 모든 일에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소설 속 인물의 말이 문득 생각났다. 그저 그냥 본능적인 것이라 진짜 이유가 없는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아직 그 이유를 찾지 못한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어쩌면 이유가 있든 없든 그게 뭐가 중요한가 싶기도 하다. 이유야 만들기 나름아닌가 싶기도 하고 말이다. 그저 그냥 행복하면 되는 거 아닌가. 소설 속에서도 행복이 고통을 이긴다고 하지 않았던가.

복잡하고 신경쓸거 많은 세상에서 너무 세세한 이유들을 찾는 것에 집중한 나머지 혹시나 커다란 행복을 놓치고 살고 있지는 않은지 한 번 되돌아봐야겠다.

‘네 아이디어가 제일 훌륭해.‘

‘소프트휠-체어‘는 2016년 미국 하버드 대학에서 만들어진 소프트 로봇 ‘옥토봇‘과 작동원리가 비슷하다. 합성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소프트휠-체어‘의 바퀴는 기존의 휠체어 바퀴보다 훨씬 얇고 질기며 바퀴 속에는 굽힘 변형률을 갖는 인공 근육이 심어져 있다. 평소에는 원형을 유지하지만, 계단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때에는 공기압을 이용해 그 장애물의 모양에 맞춰 바퀴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동시에 전도성 고분자와 결합한 인공 근육이 변형된 바퀴의 형태를 고정시키면서 계단을 무리없이 오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바위와 돌로 이루어진 산악지대 역시 오를 수 있다.

연재가 떨지 않기 위해 천천히 숨을 뱉었다. 몸에 힘을 줄 때보다 힘을 뺐을 때 긴장이 더 풀렸다.

"한 번 외출하기 위해 남들보다 많은 준비를 해야 하는 사람이 있어요. 하지만 준비를 한다고 나갈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의지나 실력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끝내 포기하는 경우도 많아요. 어렵거든요. 도움이 없으면 갈 수 없는 길들이 많으니까요. 누구는 쉽게 수술을 받으면 되지 않느냐고 말하지만 그 수술은 누군가에게 불가능과 같은 비용이거든요. 그리고 또 그 사람은 우리와 같은 온전한 두 다리를 갖고 싶은 게 아니에요. 다리는 형체죠. 진정으로 가지고 싶은 건 자유로움이에요. 가고자 한다면 어디든 갈 수 있는, 자유요."

"자유를 위해서는 많은 돈이 필요한 게 아니라 아주 잘 만들어진, 오르지 못하고 넘지 못하는 것이 없는 바퀴만 있으면 돼요. 문명이 계단을 없앨 수 없다면 계단을 오르는 바퀴를 만들면 되잖아요. 기술은 그러기 위해 발전하는 거니까요. 나약한 자를 보조하는 게 아니라, 이미 강한 사람을 더 강하게 만든다고 생각해요."

"인류 발전의 가장 큰 발명이 됐던 바퀴도, 다시 한 번 모양을 바꿀 때가 왔다고 생각해요. 바퀴가 고대 인류를 아주 먼 곳까지 빠르게 데려다줬다면 현 인류에게도 그렇게 해줄 거라고 믿어요."

"바람은 공기가 움직이는 거거든. 그래서 공기가 어떤지에 따라 달라. 겨울은 공기가 차가우니까 바람이 차가운 거고, 여름은 공기가 더우니까 바람이 더운거야."

"바람은 왜 부나요?"
"공기가 움직이거든. 기압이라는 게 있거든? 공기 덩어리야. 그게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여. 끊임없이. 그렇게 지구를 순환하거든."

바람은 스스로 불지만 투데이는 그런 바람을 일으킨다

이유를 알 수 없는 신기한 변화들이 많았다. 모든 일에 이유를 붙일 수 없다는 연재의 말을 납득했다. 이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이유를 하나하나 다 찾으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거였다.

"당신을 만난 후의 보경도 저 시절의 보경과 같아요."

"네 말이 맞는 것 같다. 엄마는 그때도 지금도 같은 사람이야."

연재는 볼 때마다 새로운 부분을 발견했다. 인간의 눈이란 같은 것을 바라보고 있어도 각자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었다.

콜리는 인간의 구조가 참으로 희한하다고 생각했다. 함께 있지만 시간이 같이 흐르지 않으며 같은 곳을 보지만 서로 다른 것을 기억하고, 말하지 않으면 속마음을 알 수 없다. 때때로 생각과 말을 다르게 할 수도 있었다. 끊임없이 자신을 숨기다가 모든 연료를 다 소진할 것 같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따금씩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마음을 알아차렸고, 다른 것을 보고 있어도 같은 방향을 향해 있었으며 떨어져 있어도 함께 있는 것처럼 시간이 맞았다. 어렵고 복잡했다. 하지만 즐거울 것 같기도 했다. 콜리가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면 모든 상황이 즐거웠으리라. 삶 자체가 연속되는 퀴즈처럼 느껴졌을 것이다.

"오랜만이잖아. 오랜만에 하면 뭐든 떨리기 마련이니까."

"당신이 저를 인간처럼 대할 때 기쁜 이유는 당신이 저를 옆에 실재하는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살아 있지 않은 걸 사랑할 수 있는 것도 인간 밖에 없으리라.

하루쯤 쉬어도 굶어 죽지 않으니 괜찮다

더는 둘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노력할 거라는 걸,

함께 있지만 맞물리지 않는 각자의 시간에 갇혀 있었다. 하지만 콜리는 그 침묵이 오래가지 않을 거라는 걸 잘 알고 있었다. 조금씩 균열이 생기며 서로에게 스며든 소음이 서로의 시간을 맞춰줄 거였다. 너무 빠르게 흘러가지 않도록 말이다.

콜리는 이제 인간이 지키는 침묵이 대체로 ‘긍정‘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질문에 대한 긍정.

행복만이 유일하게 고통을 이길 수 있으므로.

"슬프겠지. 그래도 이겨낼 거야."

"이겨낼 수 있어. 다 이겨내니까."

"하지만 그건 시간이 멈춰 있는 것일 수도 있어요."

은혜는 여전히 걱정됐지만 보경이 있으니 괜찮을 것이다. 보경은 멈춘 시간을 다시 흐르게 하는 법을 알고 있지 않은가.

"죽지 않는 한 시간은 영원히 흐르니까, 잠깐 멈추는 거야 문제도 아니지."
...(중략)...
"살아 있는 사람의 시간은 흐르기 마련이니까. 차라리 그게 나을 수도 있고. 너무 빠르게 달리면 다 놓치고 산대."

천천히, 느리게, 여유 있게, 느린 호흡으로, 하늘을 쳐다보고, 주변을 둘러보고, 네 등에 타고 있는 콜리의 움직임을 함께 느끼면서...

천천히 달리는 연습을 했다. 경마장에서는 빠른 말이 1등을 하지만, 느리게 달린다고 경기 도중 주로에서 퇴출당하지는 않았으므로, 애초에 천천히 달리는 것이 규정에 어긋나지 않았으므로.

우리는 모두 천천히 달리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다.

"잘할 수 있어."

그것이 마지막인 줄 알았더라면 만나서 반가웠다는 말을 연재에게 했을 것이다. 하지만 내게는 앞을 내다보는 예지력이 없어 연재가 사라질 때까지 쳐다만 보았다.

잘 부탁해요.

너무 아프면 뛰지 않아도 돼요. 당신은 이미 주로에 섰으니까 그걸로 됐어요.

힘들면 포기하는 것도 방법이다. 비록 생명이 무언가를 포기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노력을 해야 하지만.

괜찮아요, 신경쓰지 말아요. 저들이 하는 말을 듣지 않아도 돼요. 당신은 당신의 주로가 있으니 그것만 보고 달려요. 자신의 속도에 맞춰서요.

어차피 이 주로는 투데이만 달릴 수 있다. 관중석에서 보내는 야유는 중요하지 않다. 투데이가 신경쓰지 않도록 귓가에 말하고, 또 말했다. 신경 쓰지 마요, 저 소리는 아무것도 아니에요. 굳이 들을 필요 없어요. 모든 것을 듣고 살 필요 없어요.

행복해하고 있군요,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됐어요.

행복이 고통을 이겼다.

내게는 두려움이 없고 미련이 없다. 오로지 말을 살려야 하고 행복하게 해야 한다는 존재 자체의 이유만이 있을 뿐이다.

설령 무릎이 완전히 망가진다고 할지라도 투데이는 더 빠르게 뛰고 싶어 한다. 다시 달릴 수 있는 자유를 만끽하기 위해서.

나는 세상을 처음 마주쳤을 때 천 개의 단어를 알고 있었다. 그리고 천 개의 단어로 다 표현하지 못할, 천 개의 단어보다 더 무겁고 커다란 몇 사람의 이름을 알았다. 더 많은 단어를 알았더라면 나는 마지막 순간 그들을 무엇으로 표현했을까. 그리움, 따뜻함, 서글픔 정도를 적절히 섞은 단어가 세상에 있던가.

천 개의 단어만으로 이루어진 짧은 삶을 살았지만 처음 세상을 바라보며 단어를 읊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내가 알고 있는 천 개의 단어는 모두 하늘 같은 느낌이었다. 좌절이나 시련, 슬픔, 당신도 알고 있는 모든 단어들이 전부 다 천 개의 파랑이었다.

‘대단히 멋있는‘ 소설은 아직 내가 쓸 수 없을 것 같으니까, ‘내가 잘 쓸 수‘ 있는 소설을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작품의 완성도를 결정지을 적절한 결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아무래도 아쉽다

이번에 결과가 실망스럽더라도 좌절하지 말고 꾸준히 창작에 매진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해리 포터‘ 시리즈가 출판되기 전까지 여덟 곳에서 퇴짜를 맞았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경이의 세계를 만들어 독자들이 몰입하게 하려면 작가가 먼저 설정한 세계를 온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결말이 중요하다는 것은 단순히 결말에서의 파급력 등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스스로 설정한 경이의 세계를 자기 것으로 만들고 그 세계 안으로 독자들을 불러들여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까지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SF가 제시하는 ‘낯설면서도 익숙한‘ 공감의 영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처음 밑줄친 문장은 이 책의 7장인 ‘유전자에서 문화까지‘의 제일 마지막에 나오는 것이다. 이 챕터의 내용을 최종 정리하면서 저자는 문화라는 것도 결국 유전자로부터 시작되었다는 말과 함께 그 이후의 진화 과정에서는 문화 스스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면서 발전했다고 말한다. 또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을 물리적으로 구성하는 유전자와 인간이 탄생한 이후에 만들어낸 문화를 모두 이해해야 그것이 진정한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결론은 내가 개인적으로 작년에 적지 않은 시간을 들여 읽었던 유시민 저자의《문과 남자의 과학공부》라는 책에서 만났던 내용과도 일맥상통한다. 당시 저자는 그 책에서 자신이 인문학과 관련된 공부는 많이 했지만 상대적으로 과학 분야에 대한 공부는 많이 부족했다는 점을 고백했었다. 이로 인해 자신이 인간에 대해 안다고 생각했던 것은 단지 반쪽짜리에 불과했다는 얘기를 했던 기억이 난다. 독자인 나는 당시 나름의 충격(?)을 받았었는데, 그래도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이라고 알고 있었던 유시민 작가가 조금은 심하다고도 느껴질 수 있는 ‘바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자신의 부족함을 고백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 당시의 충격(?)이 계기가 되어 나 또한 그전까지 아예 관심조차 가지지 않았던 과학관련 책들을 읽기 시작했다. 일단 유시민 저자가 자신의 책에서 주석으로 추천해줬던 약 70여 권의 책들 가운데 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책인《코스모스》와《이기적 유전자》를 먼저 읽어보았고《엔드오브타임》과 《확장된 표현형》은 조금 읽다가 잠시 쉬고 있는 상태다. 어쩌면 지금 읽는 이《통섭》이라는 책도 그 리스트에서 알게 되어 읽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솔직히 과학관련 서적을 읽는 것이 일반 소설책을 읽는 것만큼의 속도가 나지는 않는다. 독자인 내가 전공자도 아닐뿐더러 딱히 배경지식이 많은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 처음 밑줄친 부분에 나온 말처럼 인간을 좀 더 입체적으로 또는 다방면으로 이해하는데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에 비록 진도는 거북이처럼 천천히 나갈지언정 조금씩이나마 읽어나가보려고 한다. 그리고 좀 힘들긴 해도 그 와중에 중간중간 새롭게 배우는 것들도 분명히 있기에 호기심을 채워가는 나름의 재미(?)라면 재미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문화는 유전자로부터 발흥하며 유전자의 검인을 영원히 간직한다. 한편으로 문화는 은유와 새로운 의미를 창조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획득했다. 인간 조건을 이해하려면 유전자와 문화를 모두 이해해야 한다. 하지만 과학과 인문학을 분리한 채 이해하려 한다면 부질없는 짓이 된다. 인간 진화의 실재성을 인식하면서 이 둘을 함께 묶어 이해해야 한다. - P289

인간 본성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인간 본성을 규정하는 유전자도 아니고 인간 본성의 궁극적 산물인 문화도 아니다. ...(중략)... 그것은 후성 규칙들이다. 즉 문화의 진화를 한쪽으로 편향시켜 유전자와 문화를 연결해 주는 정신 발달의 유전적 규칙성이다. - P291

생물학자들과 사회과학자들은 유전자 · 문화 공진화에서 인과적 사건들이 유전자, 세포, 조직, 뇌, 행동의 순서를 따라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그 사건들은 물리적 환경과 기존 문화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후의 문화 진화를 편향시킨다. 그러나 그런 연쇄(유전자가 후성 규칙을 통해 문화에 행하는 작용)는 전체 상호 작용의 절반일 뿐이다. 또 다른 절반은 문화가 유전자에게 하는 작용이다. - P292

뇌와 행동의 후성 규칙들을 규정하는 유전자들은 거대 분자들의 단편일 뿐이다. 그것은 감정도 없고 신경 쓰는 일도 없고 물론 의도도 없다. 그저 고도로 구조화된 수정 세포 내에서 발생을 조절하는 화학 작용의 연쇄를 촉발시킬 뿐이다. 그것의 문서는 분자에서 세포 그리고 기관의 수준으로 확장된다. 연쇄적인 생화학 작용으로 이뤄진 발생의 초기 단계는 결국 감각계와 뇌가 자신을 조립하는 단계에 이르러 끝을 맺는다. 그 후로 개체가 완성되어야만 정신 활동은 창발적 과정을 통해 출현하게 된다. - P293

뇌는 생물학적 질서의 최고 단계들의 산물로서 개체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적 작용에 함축되어 있는 후성 규칙들의 제약을 받고 있다. - P293

뇌는 환경 자극의 범람 속에서 작동하면서 보고 듣고 배우며 자기 자신의 미래를 계획한다. 진화 과정에서 수많은 뇌의 집합적 선택은 인간의 모든 것ㅡ유전자, 후성 규칙, 의사소통적 마음 그리고 문화ㅡ의 진화적 운명 (Darwinian fate)을 결정한다. - P293

지혜로운 선택을 한 뇌는 더 높은 진화적 적응도(Darwinian fitness)를 가지게 되는데 이것은 그 뇌가 잘못 선택한 뇌들보다 통계적으로 더 오래 살고 더 많은 자손을 남기게 됨을 뜻한다. "적자생존(survivalof the fittest)"이라는 말로 흔히 요약되는 이 일반화는 마치 동어반복ㅡ적합한 놈이 살아남고 살아남은 놈이 적합하다는 식으로ㅡ처럼 들린다. 하지만 그것은 자연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생산과정을 표현하는 말이다. - P293

수십만 년의 구석기 역사 속에서 인간의 특정한 후성 규칙들을 규정하는 유전자들은 자연선택 과정을 통해 점점 증가해 종 내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런 수고 덕분에 인간 본성이 탄생한 것이다. - P293

인간 진화가 침팬지나 늑대의 진화와 정말로 다른 점은 인간의 진화를 추동해 온 환경에서 문화적인 요소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문화가 조성한 특수한 환경은 행동 유전자들에 영향을 끼친다. 즉 행동 유전자들은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 P293

주변 환경에서 먹이를 찾는 행동처럼 자신들의 문화를 최대로 활용했던 조상들은 진화적 이득을 많이 챙겼다. 선사 시대에 그들의 유전자는 증식되었고 뇌 회로와 행동 형질을 조금씩 변화시켜 결국 현재의 인간 본성을 만들어 냈다. 역사적인 우발성도 그런 일에 모종의 역할을 하기는 했지만 결국 자기 파괴적인 것으로 판명이 난 것들이 많았다. 그러나 대체로 자연선택은 긴 세월 동안 인간 진화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인간 본성은 적어도 그것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적응적이었다. - P294

유전자·문화 공진화 이론은 하나의 역설을 만들어 내는 듯하다. 그것은 인간의 행위가 문화를 만들고 동시에 문화가 인간의 행위를 만든다는 점이다. 하지만 우리가 인간의 조건을 동물계에 널리 퍼져있는 환경과 행동 사이의 호혜성과 비교해 보면 그런 모순은 사라진다. - P294

아프리카 코끼리는 많은 수의 수목과 관목을 먹어대면서 나무들이 성긴 삼림 지대를 창조한다. 그 코끼리의 다리 밑에서 우글대는 흰개미는 죽은 초목을 소비하고 땅과 배설물을 이용해 밀봉된 집을 짓는다. 그리고 놀랍게도 수분과 이산화탄소를 만들어 내서 자신들의 생리 작용이 잘 적응하게끔 소기후를 만들어 낸다. - P294

인간을 홍적세(지질 연대는 크게 원생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나뉘는데 6500만 년 전에 시작된 신생대는 다시 제3기와 제4기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4기는 200만 년 전에 시작된 홍적세와 1만 년 전에 시작된 충적세로 나뉜다. 호모 에렉투스가 약 200만 년 전에 진화했으니까 인류의 주무대는 구석기 문화로 장식된 홍적세라고 할 수 있다. 인류는 그 시대에 네 차례의 빙하기와 간빙기를 거쳤으며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1만 년 전쯤에 기후와 동식물의 분포가 현재와 흡사한 충적세로 넘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그와함께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었다.)에 이들의 서식지와 동일한 곳에서 진화한 존재로 보려면 환경의 일부를 문화로 대체하기만 하면 된다. - P294

사회적으로 학습된 복잡한 행동이라고 엄격히 정의되는 문화는 확실히 인간에게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전자와 문화(환경으로서의) 간의 호혜성도 독특할 수밖에 없지만 그 기저에 흐르는 원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이 문화에서 나오면서 동시에 문화가 인간의 행위에서 나온다고 말하는 것에는 아무런 모순이 없다. - P2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은 부분에서 저자는 전문직의 본질적인 역할 및 그 변화에 대해 논한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잠시 언급했었지만 전통적인 전문직의 역할은 일반인들이 이해하거나 습득하기 힘든 지식들에 특화하여 관련 지식들을 익힌 뒤 그것들을 기반으로 일반대중이 해결을 필요로 하는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더이상 전문직들이 가진 지식이 전문직들만의 것이 아니게 되었고, 일반인들도 AI(인공지능)같은 기술들을 활용하여 얼마든지 전문직들이 갖고 있는 지식에 접근하고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로인해 전문직의 전통적인 역할은 과거에 비해 상당부분 축소될 것이라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이렇게 전문직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적인 측면의 중요성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대신에 저자는 앞으로 전문직이 서비스 수요자들을 돕는 새로운 방식이 좀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듯하다. (살짝 오해의 소지가 있을까봐 노파심에 조금 덧붙이자면 여기서 말하는 건 기존의 지식적인 측면만 가지고 전문직 서비스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이 쉽지 않을 거라는 말이지 지식자체가 아예 쓸모가 없다는 말은 아니다.)

이 책은 전문직의 미래를 예상하는 책이기에 저자의 예상이 100% 다 맞다고 섣불리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나름대로 일리가 있어보이는 측면들이 많이 있기에 이에 대한 호기심을 잃지않고 이후에 나오는 저자의 생각과 의견들을 쭉 따라가며 살펴보고자 한다.


전문직은 사람들이 이익을 얻기 위해 이용하려는 대상인 ‘실용적 전문성을 유지하고 해석하며 적용하는 문지기‘ 역할을 했다. - P71

우리는 기존 방식대로 전문직을 통하는 것이 제한된 이해력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 또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확신을 버리고, 현재 사용 중인 것과는 완전히 다른 문제 해결 방법도 가능하다는 사고방식으로 전환하기를 촉구한다. - P71

우리는 사람들이 전문직의 이면을 보고, 인간의 제한된 이해력을 해결할 수 있는 더 나은 대안에 마음을 열기를 요구한다. 수요자의 시각에서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더욱 저렴하고 덜 경직된 방식으로, 더 높은 품질로 더 투명하게 힘을 북돋우는 방식으로 사람들을 돕는 방법이 등장하면 열렬한 환영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해야 마땅하다. - P71

하지만 기존 방식이 이런 대안으로 바로 대체될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의 일상에 견고하게 뿌리내린 전통적 전문직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이미 단단히 자리 잡은 믿음과 관행을 포기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 P71

전문가들이 씨름하는 문제는 대부분 사실 전문직 자신이 개발해온 해결책에 따라 정의된다. 예컨대, 고객에게 세무 또는 회계 관련 문제가 있다거나 환자에게 치과 또는 외과 관련 문제가 있다고 말할 때, 이런 문제를 정의하는 것은 바로 공급자인 전문가의 능력과 분류법이다. - P71

"가진 공구가 망치뿐이라면 모든 문제를 못처럼 취급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것이다."

_에이브러햄 매슬로 Abraham Maslow - P72

현실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그에 속하는 전문 영역이 언제나 깔끔하게 맞아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일상의 문제는 혼란스럽다. 사람들이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일상생활 속의 사건들을 해결하려면 한 명이 아니라 여러 명의 전문가에게 조언을 받는 것이 이상적이다.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