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의 고금통의 1 - 오늘을 위한 성찰
이덕일 지음 / 김영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학계에서는 정평이 나있는 역사학자 '이덕일'의 《고금통의》가 1편과 2편으로 출간되었습니다. '고금통의(古今通義)'란 옛 것에 비추어 오늘의 해법을 구한다는 말입니다. 헛되어 보낸 과거, 실수 또는  잘된일을 발판 삼아 지금의 과오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는 의미와 통한다고 봅니다. 또하 흥미로운 것은 역사학자의 시각으로 다양한 역사적 일화들을 펼쳐내주고 있는데요. 중국의 고전과 역사에서부터 한국사까지 경계를 넘나드는 역사를 통해 진실이라고 믿었던 역사의 이면도 되짚어보는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책은 총 5파트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500쪽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 부담스러우시다면 파트별로 쪼개서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특히 4장 '역사 속 자기 경영' 부분 중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한 '가장 이상적인 피서법'이 인상 깊었습니다.  여름 피서철로 산과 바다, 해외로 휴가를 떠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우리 선조들은 어떤 피서법을 선호 했을지 궁금 했었는데.. 단연 '독서 피서법'이 그 당시에는 최고였나 봅니다. (지금은 안타깝게 아니지만요)

 

1. 진실은 힘이 된다


2. 어제의 마음으로 오늘을


3. 사람에게서 길을


4. 역사 속 자기 경영


5. 어떻게 살 것인가

그리고 연이어 나오는 주제는 ' 책 읽를 위한 휴가'입니다. 조선 시대에 있었던 '사가독서제'를 설명해 주고 있네요. 변계량이 태종에게 젊은 유생 한두 명을 선발해 고요한 곳에서 독서 휴가를 주자고 청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요.  세종때는 예산문제로 어려워 지자 집현전에 나오지 말고, 자가에서 독서에 전념하고 내 뜻에 부응하라고 했습니다. 엄격하게 독서 규범에 따라 집에서의 독서도 흐트러짐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책을 가까이 하지 않는 관리들은 세상을 잘 타고 난 듯 합니다.  그 당시에는 문인으로서 책을 가까이 하지 않는 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였으니까요. 또한 정조때는 조정에 개입하지 말고 연구에만 전념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는군요. 현대로 따지면 교수들의 안식년에 '독서'가 무척 강조 되었던 사례로 독서를 매우 권장하고, 공부만 하다가 지칠까 성대한 연회도 배풀어주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국가에서 대 놓고 독서를 장려하고 도와주는 '사가독서' 출신 중에는 인재가 많았다고 전해집니다. 지금도 현대의 실정에 맞게 공무원, 교수, 직장인 등 국가차원에서 독서를 장려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네요. 책 읽는 휴가라.. 정말 꿀맛같은 휴가입니다.

 

그 밖에도 저자의 해박한 역사 지식은 오늘날의 정치, 경제, 문화, 가정 전반에서 가르침을 주기에 충분합니다. 지식과 교양을 단번에 습득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자의 문학살롱 - 그들은 어떻게 고전에서 경제를 읽어내는가 한빛비즈 경제학자 시리즈 3
박병률 지음 / 한빛비즈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아주 좋은 책을 만난 것 같아 반갑네요. 이 책은 고전 속에서 경제학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쉽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버릴 것이 없는 책인 것 같아요. 고전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현대인의 삶 속 깊숙하게 녹아들어 있는게 바로 '고전'인데요. 바쁘다는 핑계로 고전을 다 읽어보기 어렵잖아요. 그래서 속성으로 읽는 고전, 하룻밤에 다 읽는 역사서 등 현대인의 시간을 줄여주는 책들이 많이 나와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런 책들은 오역과 과하게 줄여 놓은 내용 때문에 앞뒤가 안 맞기도 하더라구요. 저는 차라리 고전을 읽을 거라면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읽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갑자기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경제학자의 문학살롱》에서 다뤄 주는 문학 작품들은(읽어본 것 중에서) 작품의 기본 골격을 해치지 않고 거기에 '경제학'을 교묘히 맞춰 준다는 것인데요.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영민하면서도 간략한 서머리를 잘해 두어서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느낌입니다.

 

사실 저는 경제학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서 많은 용어들이 이해가 가지 않을 때가 많았어요. 경제경영서를 읽는 일은 저에게 아주 힘든 노동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경제학자의 문학살롱》으로 경제학은 기본은 배운 것 같아요.   뜻도 모를 영어용어와 그래프, 통계치 등은 저의 머리를 아프게 만들었죠. 학교 다닐때도 수학은 어려웠거든요. 사실 정글 같은 현재를 살아가는데에는 보이지 않는 경제학의 흐름과 수싸움을 아는 자만이 돈도 벌고 지위도 얻는 걸 모르는건 아닌데요. 어렵고 이해가가지 않아서 경제경영서는 잘 들춰 보지 않았는데, 제가 좋아하는 문학작품 속에서 의미를 찾아 주고 예를 들어주니, 이해가 쏙쏙 되었습니다.  마치 '서프라이즈'를 책으로 본 것 같아요.  화려할 것만 같았던 작가의 이면의 비극적인 죽음, 그 후의 스토리도 덤으로 들을 수 있어서 매우 유익 했습니다.

 

특히 고전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좋은 책일 것 같아요. 고전을 고리타분하고 생각하는데, 고전 속에서 후대의 지혜를 배우는 '온고지신'을 경험하기에 더할나위 없어 보입니다. 저자의 다른 책인 《경제학자의 영화관》도 무척 기대가 되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자의 문학살롱 - 그들은 어떻게 고전에서 경제를 읽어내는가 한빛비즈 경제학자 시리즈 3
박병률 지음 / 한빛비즈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아주 좋은 책을 만난 것 같아 반갑네요. 이 책은 고전 속에서 경제학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쉽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버릴 것이 없는 책인 것 같아요. 고전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현대인의 삶 속 깊숙하게 녹아들어 있는게 바로 '고전'인데요. 바쁘다는 핑계로 고전을 다 읽어보기 어렵잖아요. 그래서 속성으로 읽는 고전, 하룻밤에 다 읽는 역사서 등 현대인의 시간을 줄여주는 책들이 많이 나와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런 책들은 오역과 과하게 줄여 놓은 내용 때문에 앞뒤가 안 맞기도 하더라구요. 저는 차라리 고전을 읽을 거라면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읽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갑자기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경제학자의 문학살롱》에서 다뤄 주는 문학 작품들은(읽어본 것 중에서) 작품의 기본 골격을 해치지 않고 거기에 '경제학'을 교묘히 맞춰 준다는 것인데요.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영민하면서도 간략한 서머리를 잘해 두어서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느낌입니다.

 

사실 저는 경제학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서 많은 용어들이 이해가 가지 않을 때가 많았어요. 경제경영서를 읽는 일은 저에게 아주 힘든 노동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경제학자의 문학살롱》으로 경제학은 기본은 배운 것 같아요.   뜻도 모를 영어용어와 그래프, 통계치 등은 저의 머리를 아프게 만들었죠. 학교 다닐때도 수학은 어려웠거든요. 사실 정글 같은 현재를 살아가는데에는 보이지 않는 경제학의 흐름과 수싸움을 아는 자만이 돈도 벌고 지위도 얻는 걸 모르는건 아닌데요. 어렵고 이해가가지 않아서 경제경영서는 잘 들춰 보지 않았는데, 제가 좋아하는 문학작품 속에서 의미를 찾아 주고 예를 들어주니, 이해가 쏙쏙 되었습니다.  마치 '서프라이즈'를 책으로 본 것 같아요.  화려할 것만 같았던 작가의 이면의 비극적인 죽음, 그 후의 스토리도 덤으로 들을 수 있어서 매우 유익 했습니다.

 

특히 고전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좋은 책일 것 같아요. 고전을 고리타분하고 생각하는데, 고전 속에서 후대의 지혜를 배우는 '온고지신'을 경험하기에 더할나위 없어 보입니다. 저자의 다른 책인 《경제학자의 영화관》도 무척 기대가 되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자의 문학살롱 - 그들은 어떻게 고전에서 경제를 읽어내는가 한빛비즈 경제학자 시리즈 3
박병률 지음 / 한빛비즈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아주 좋은 책을 만난 것 같아 반갑네요. 이 책은 고전 속에서 경제학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쉽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버릴 것이 없는 책인 것 같아요. 고전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현대인의 삶 속 깊숙하게 녹아들어 있는게 바로 '고전'인데요. 바쁘다는 핑계로 고전을 다 읽어보기 어렵잖아요. 그래서 속성으로 읽는 고전, 하룻밤에 다 읽는 역사서 등 현대인의 시간을 줄여주는 책들이 많이 나와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런 책들은 오역과 과하게 줄여 놓은 내용 때문에 앞뒤가 안 맞기도 하더라구요. 저는 차라리 고전을 읽을 거라면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읽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갑자기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경제학자의 문학살롱》에서 다뤄 주는 문학 작품들은(읽어본 것 중에서) 작품의 기본 골격을 해치지 않고 거기에 '경제학'을 교묘히 맞춰 준다는 것인데요.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영민하면서도 간략한 서머리를 잘해 두어서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느낌입니다.

 

사실 저는 경제학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서 많은 용어들이 이해가 가지 않을 때가 많았어요. 경제경영서를 읽는 일은 저에게 아주 힘든 노동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경제학자의 문학살롱》으로 경제학은 기본은 배운 것 같아요.   뜻도 모를 영어용어와 그래프, 통계치 등은 저의 머리를 아프게 만들었죠. 학교 다닐때도 수학은 어려웠거든요. 사실 정글 같은 현재를 살아가는데에는 보이지 않는 경제학의 흐름과 수싸움을 아는 자만이 돈도 벌고 지위도 얻는 걸 모르는건 아닌데요. 어렵고 이해가가지 않아서 경제경영서는 잘 들춰 보지 않았는데, 제가 좋아하는 문학작품 속에서 의미를 찾아 주고 예를 들어주니, 이해가 쏙쏙 되었습니다.  마치 '서프라이즈'를 책으로 본 것 같아요.  화려할 것만 같았던 작가의 이면의 비극적인 죽음, 그 후의 스토리도 덤으로 들을 수 있어서 매우 유익 했습니다.

 

특히 고전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좋은 책일 것 같아요. 고전을 고리타분하고 생각하는데, 고전 속에서 후대의 지혜를 배우는 '온고지신'을 경험하기에 더할나위 없어 보입니다. 저자의 다른 책인 《경제학자의 영화관》도 무척 기대가 되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여행 버킷리스트 101 - 여행 전에 꼭 읽어야 할
손봉기 지음 / 넥서스BOOKS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란 표지가  발랄상큼하군요. 마치 여행이 주는 흥분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는 것 같아서요.

 

먼저 '넥서스'라는 출판사는 제가 학교 다닐때 토익교제로 유명했던 곳이라 반가웠습니다. 실용서들을 주로 출판하는 곳으로

'여행서'도 단연 빠질 수가 없겠죠? 책을 쭉 훑어 보니 여행사 대표님께서 무려 20년 동안 직접 한땀한땀 경험을 토대로 쓰신 책이라 믿음이 갔습니다. 역시 경험만큼 값진 것은 없네요.

 

*넥서스북 바로가기  ☞ https://www.nexusbook.com:446/index.asp

 

 

 

유럽하면 다른 여행지 보다 많은 문화 유산과 ,축제, 음식 등 보고 먹고 듣고 즐길 거리들이 많아요. 저도 재작년 파리를 다녀왔는데요. 아쉬운 곳이 많아 다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한번 다녀 온 경험을 토대로 여러 책들을 접해 보고 있는데요. 그 중 《유럽여행 버킷리스트101》유럽의 문화와 역사를 같이 공부하기에 매우 좋은 여행서 같아서 마음에 쏙 드네요. 왜냐하면 다른 여행서에서 가볍게 다루고 있는 문화유적의 역사에 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이 책에서는 드넓게 펼쳐지기 때문이죠. 꼭 현지 가이드의 생생한 설명을 오디오로 듣고 있는 듯 귀에 쏙쏙!! 들어오더라구요.

 

 

 

또 특이한 점은 유럽 아는만큼 보인다  입니다. 유럽의 음악사, 맥주의 역사, 건축사, 기독교, 쇼핑까지 우리와 다른 문화권인 유럽에 대해 이해해야 할 것들을 써머리 해주고 있습니다.

 

 

인생의 버킷리스트를 만들 듯 여행지에서의 버킷리스트를 만들어 보는건 어떨까요? 떠나기 전 설레임과 여행지에서의 감동이 배가 되는 계기가 될 것 같네요. 직접 유럽을 다녀 온 것 같은 생생한 경험과 동선 숨겨져 있는 비밀들을 찾아가는 91곳의 여행지 해설과 10가지 유럽 이야기를 즐겨보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