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가 세상에 살다간 햇수와 반비례하여 창조한 음악들로 봤을 때, 그 누구도 반박할 수 없는 천재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위대한 예술가는 대부분 사후(死後)에 이름이 알려진다라는 건 역사만 봐도 많은 실례가 있다.

 한창 인기를 얻었던 전성기도 있었지만 인생의 후반기에 접어들어서는 그가 거주하던 빈에서 그의 음악은 무시ㆍ외면

당했으며, 지독하리만치 궁핍한 생활 속에서 삶을 마친 불운한 작곡가이다.

 오죽하면 한 목소리로 그 당시 모차르트의 천재성을 못 알아본 말로 '천박한 빈 사람들'이라는 말까지 있을까.

 25세나 연상이었지만 모차르트를 존경했던 하이든(모차르트 또한 진정으로 존경했던 작곡가는 하이든 뿐이라고 할 수

있다)은 모차르트가 요절 했을 때 '앞으로 100년 동안 세계는 이와 같은 천재를 갖지 못할 것이다'라며 세상의 무관심과

냉대에 강하게 비난하기도 했다.

 

 창조적 예술가이자 위대한 인물, 현재 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 문화적인 아이콘이지만 그도 사람이다.

 많은 교우관계, 여자관계가 있었는데 역시나 가장 잘 알려진 것은 그의 부인인 콘스타체와의 관계가 아닐까 싶다.

 

 

 

모차르트의 썸씽녀(;;)들. 왼쪽부터

콘스탄체 모차르트 (Constanze Mozart, 1763~1842)

낸시 스토라체 (Nancy Storace, 1765~1817)

마리아 안나 테클라 모차르트 (Maria Anna Thekla Mozart, 1758~1841)

 

 

 

 콘스탄체는 모차르트가 처음 사랑을 품었던 알로이자 베버(Maria Aloysia Antonia Weber, 1760~1839)의 동생이다.

 1778년 모차르트가 만하임에 체류할 때 프리돌린 베버 일가를 알게 되었는데, 젊은 나이지만 이미 성악가로서 확고한

명성을 얻고 있던 알로이자에게 마음을 빼앗겼지만 알로이자 자신은 모차르트에게 별다른 남성적 매력을 못 느꼈던 것

같다. 훗날 그녀는 한 인터뷰에서 모차르트의 고백을 거절한 것을 후회하긴 했지만.

 그녀의 동생인 콘스탄체한테 모차르트는 처음에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알로이자에게 사랑을 거절당하고 좌절한 상태

였을 때 그녀가 구원이 되어주었던 것일까?

 1782년 경 알로이자의 가족들이 빈으로 이주하여 여인숙을 운영할 때 모차르트는 그 곳을 찾았고 콘스탄체와 깊은 사랑에

빠지게 된다. 결국 아버지 레오폴트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 해에 결혼에 골인~

 행복한 결혼 생활을 영위하긴 했지만 여러 전기나 내용들을 봤을 때 콘스탄체는 악처의 한 표본이었던 듯 하다.

 질투심이 강하고 낭비벽이 심했으며,(모차르트의 만년 가난은 콘스탄체의 무분별한 소비로 인한 이유가 크다)

사생활도 문란하였다. 1789년 이후에 그녀는 요양을 핑계로 바덴의 온천장에 가곤 했는데, 보통 모차르트의 제자인

쥐스마이어가 동행을 했다. 이 시기의 태어난 F.X.모차르트(1791~1844)가 쥐스마이어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을 정도다. 그러나 모차르트 자신은 콘스탄체의 경박한 부분은 인정하면서도(편지들을 통해 그녀에게 정숙을 요구하는

글 들이 있다) 한편으로 그녀를 끝까지 사랑했다.

 뭐.. 어찌됐든 모차르트의 걸작들이 그녀와의 행복한 결혼생활에서 나온 산물이었음은 부정할 수 없을 듯.

 

 

 허나 이런 모차르트도 바람둥이 기질이 있었으니.. 낸시 스토라체와의 관계가 그 점을 잘 보여주는 듯 하다.

 그녀는 모차르트의 제자인 스테판 스토라체(Stephen Storace, 1762~1796)의 동생인데, 그 당시(1786년)의 가장 잘 나가는

소프라노 중 한 명이었다. '피가로의 결혼'의 최초 수잔나 역할을 맡기도 했는데, 그 당시는 오페라 대본가나 작곡가들이

가수들과 문란한 관계가 있는 것이 풍습(?)이었던만큼 그 둘의 관계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다.

 물론 낸시가 모차르트의 편지들을 의식적으로 없애버렸기 때문에 정확한 증거가 없긴 하지만 말이다.

 모차르트는 그녀를 위해서 다양한 연주회용 아리아를 작곡했으며, 그녀가 영국으로 돌아갈 때 애들은 아버지인 레오폴트

에게 맡기고 콘스탄체와 함께 영국으로 넘어갈 생각도 했다. 결국 레오폴트의 극렬한 반대로 무산되긴 했지만.

 이런 일만 봐도 모차르트는 한 여자에게만 사랑을 갈구하는 인물은 아니었던 듯 싶다.

 

 

 미라아 안나 테클라 모차르트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볼프강의 사촌동생이다.

 그녀는 콘스탄체와 모차르트가 결혼하기 이전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이고, 결혼 후에는 별다른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언급할 만한 점은 적은 듯 하다.

 허나 많은 문헌이나 전기 등에서 이 인물이 적게 언급되는 이유는 이른바 치부, 저속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마리아와 볼프강은 1777년(모차르트 당시 21세)에 처음 만났는데, 그녀는 말괄량이에 발랄하며 성적 매력이 넘쳤고,

젊은 모차르트가 이에 별다른 저항없이 강하게 끌린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여러 편지들의 내용을 보아도 그녀가 모차르트에게 '사촌 여동생'이상의 존재였음은 확실하고,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만

비춰졌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실례로 알로이자에게 사랑을 거절당했을 때 모차르트는 자신을 위로해달라고 마리아를 자기 집으로 부르기도 했으며,

그녀는 그런 부탁에 흔쾌히 응했다. 마리아는 모차르트를 진정으로 사랑하고 결혼까지 꿈꾸기도 했지만, 모차르트에게

그녀는 그 이상의 존재는 아니였던 듯 하다.

 

 

 

 

 

 모차르트같은 대작곡가의 사생활은 분명 많은 화두거리를 낳고, 과장 또는 부풀려지게 마련이다.

 허나 언급했다시피 그도 사람이고, 기본적인 사랑과 욕망에 휘둘렸음은 당연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바람둥이 기질이 다분했던 것은 뭐.. 음...(--;)

 언급한 여성들이 모차르트가 작곡하는데에 깊은 영감의 원천이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역시.. 뭐든지 아름답게

만들어지는 것은 사랑에서 기인한다는 평범한 결론인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이너 레이블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클래식 레이블들은 매달 1일에 새 음반들을 출시한다.

 가장 많은 타이틀을 출시하는 레이블은 역시 낙소스이며, 그 외에도 브릴리언트 클래식스, 도이치 그라모폰, EMI, 오르페오,

CPO, 나이브 등도 해당..

 그래서 나는 매달 초가 되면 해당 사이트들에 접속해 무엇무엇이 나오나 등을 훑어보는데, 이미 출시된 것보다는

'Coming Soon'이라 적힌 것들이 더 관심이 간다..^^;

 즉 다음 달에 출시되는 것들이다.

 

 이번에도 알아보았더니 역시나 기대되는 것들이..!!(아아.. 사고 싶은 것들은 많은데.. 자금이...자금이..)

 

 

 

 NAXOS - 메르카단테 플루트 협주곡들

 Brilliant Classics - C.P.E.바흐 에디션(30CD)

 Brilliant Classics -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피아노 작품집(7CD)

 

 

 메르카단테의 플루트 협주곡은 E단조 하나인 줄 알았던 나의 무지가 드러나는구나..

 그의 대표작이라 할 만한 작품인데, 같은 계열의 협주곡들은 어떨지 무지무지 기대 중♡

 

 C.P.E.바흐 에디션이라니.. 그것도 30CD나... 브릴리언트 정말 사랑합니다~

 내용은 오페라는 물론, 그의 협주곡이나 소나타 등 다양한 음악들이 빼곡히 담겨 있다! 정말 이 레이블이 아니면

엄두도 못 낼 그러한 컬렉션이다. 그의 음반들은 많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데, 기대 만빵이다.

 

 그리고 가장 기대되는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에이나우디는 미니멀리즘적인 경향이 짙은데 장르가 좀 애매해서 뉴에이지로 쪽으로도 분류하기도 한다.

 여튼 그만큼 듣기 좋다는 얘기! 본인의 연주는 아니지만, 국내 수입반으로는 구하기도 힘든 요즘에 그의 작품들을

이렇게 묶어서 발매해준다는 것만으로도 너무나 좋고 감격스럽다.

  'Le Onde'와 'In un'altra vita'의 해석이 어떠할지 너무나 기다려진다!!

 

 

 12월 출시 음반들이라고는 하지만 정식 수입되고 어쩌고 하면 출시는 연말이나 될 것 같다..ㅜㅜ

 이 작품들은 무조건 구입 예정이다! 어서 발매가 되기를~

 

 

 In un'altra vita 링크(듣고 감동먹어도 모릅니다..^^) → http://www.youtube.com/watch?v=pYnQv2NfVm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클래식을 애청한다지만 우리나라의 음악에 대해선 정작 별로 관심이 없었던 것 같다.

 아는 작곡가라고 해봤자 홍난파, 현제명, 안익태, 윤이상, 강석희, 황성호, 진은숙 정도랄까..

 외려 중국이나 일본 작곡가들을 더 알고 있었으니 나의 무관심에 절로 고개가 숙여질 따름이다.

 

 친숙한 가곡부터 난해한 현대곡까지 알아보고 싶은 부분이 많다.

 서양의 산물이지만 우리의 뜻과 전통으로 창조했을 시에는 사실상 우리의 것이라 보는 것이 맞다. 비단 음악이 아니더라도.

 이제 겨우 한 세기가 지났을 뿐인 한국의 클래식 역사이지만 앞으로도 무궁한 발전이 있으리라 소망해본다.

 다양한 곡들을 접하고 느끼면서 시야가 더 트이기를 바라며..

 

 

 

 

 


2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피아노로 듣는 한국가곡 명곡선 [2CD]
신귀복 외, 여러 아티스트 (Various Artists) / 내츄럴리뮤직 / 2014년 3월
10,700원 → 8,900원(17%할인) / 마일리지 90원(1% 적립)
2014년 04월 07일에 저장
품절
이 무지치가 연주하는 한국의 사계
유재하 외 작곡, 이윤아 소프라노, 이 무지치 (I Musici) / 유니버설(Universal) / 2013년 12월
18,000원 → 14,700원(18%할인) / 마일리지 150원(1% 적립)
2013년 11월 27일에 저장
품절
Trio Haan (트리오 한) - 21세기 한국 현대 음악 2집
Trio Haan (트리오 한) 연주 / Music Zoo(뮤직 주) / 2006년 12월
17,000원 → 14,900원(12%할인) / 마일리지 150원(1% 적립)
*지금 주문하면 "7월 23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3년 11월 05일에 저장

박세원 : Korea Art Song - 한국가곡 1986~2013 [리마스터]
이수인 외 작곡, 박세원 (Se Won Park) 테너 / 열린음악 / 2013년 6월
17,800원 → 14,900원(16%할인) / 마일리지 150원(1% 적립)
2013년 11월 05일에 저장
절판


2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도리안 레이블에서 나온 불세출의 명반으로, 아직 이 곡들을 들어보지 못 했다면 당장 들어보기를 권한다!

 캐서린 여제시대 왕녀들의 음악들이 실려있는데, 14트랙 모두 하나같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명시만 안 되어 있다 뿐이지

하나같이 세계 최초 레코딩된 음원들이다.

 

 나도 이 음반을 알게 된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국내에선 구할 수가 없어 해외구매를 했다.

 이전 페이퍼에서 언급했다시피 18C 러시아는 칸도쉬킨, 보르트니안스키를 제외하면 이름을 댈만한 작곡가도 없을 뿐더러

과도기인 탓에 미개척지인 것이 사실이다. 그런 시대의 궁금증을 해결해줄 뿐만 아니라 더욱더 놀라운 것은 여성 작곡가들의

곡만 실려 있다는 것이다. 직업 작곡가가 아닌 탓에 안 알려지지 않은 것이 아닐까 싶다. 하나같이 생몰년도도 정확하지

않은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예카테리나 시냐비나의 하프시코드 소나타, 주보바나 나리시키나의 가곡들은 하나같이 수작으로 꼽을 만하며, 앨범 전체

적으로 놀라운 관능미가 기조를 이루고 있다.

 다행히(?) 낙소스 뮤직라이브러리에서 전 곡이 감상 가능하니(^^) 미리 들어보기를 추천한다.

 

 

4번 트랙 → Siniavina : Sonata, 1st Movement http://www.youtube.com/watch?v=hfzwAQkRAHs

 

8번 트랙 → Mlle : Loin de l'objet de mon amour http://www.youtube.com/watch?v=wp2VgWvOkNU

 

13번 트랙 → Zubova : I am Banished to the Desert http://www.youtube.com/watch?v=Hgbvmcqq0w0

 

14번 트랙 → Naryshkina : On the Hills http://www.youtube.com/watch?v=dLVjDgisQR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an-Paul Martini (1741~1816) - Plaisir d'amour (1784)

Violin - Andre Rieu

 

 

 

 너무나 유명하다 보면 잘 안 듣게 되는 곡들이 있다. 혹은 제목은 모르지만 들어보면 바로 알 것 같은 곡들.. 가곡 분야에서만

한정 짓자면 베토벤의 '그대를 사랑해', 비숍의 '즐거운 나의 집', 슈베르트의 '보리수', 멘델스존의 '노래의 날개 위에' 외에도

장 폴 마르티니의 '사랑의 기쁨(Plaisir d'amour)'등이 이에 속할 것 같다.

 처음 들었다 하더라도 그 친숙함에는 누구나 귀를 기울이며 마음 속 깊이 각인되지 않을까.

 이러한 선율을 창조한 인물들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유명하다고는 하나 나도 이 음악을 어디서 처음 들었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 아주 어렸을 때 일 수도 있고, 그냥 스쳐가는

식으로 들었지만 무의식 중에 기억했던 걸지도 모른다. 그러다 구매한 클래식 성악 컴필레이션에서 이 곡의 제목과 작곡가를

알게 되었다. 성이 같다는 이유로 종종 지오반니 마르티니(Giovanni Battista Martini, 1706~1784)와 혼동하는 경우도 볼 수

있지만, 장 폴 마르티니가 맞다. 이 곡 하나만으로도 불멸의 이름이 될..^^

 제목과는 다르게 가사 내용은 변심한 애인의 사랑을 슬퍼하는 내용이지만, 멜로디만큼은 너무나 감미롭다.

 나나 무스쿠리가 불러서 유명하지만 바이올린 소품으로도 자주 연주되는 바, 앙드레 류의 버전을 올려본다.

 

 

 

Plaisir d'amour ne dure qu'un moment.
chagrin d'amour dure toute la vie.

사랑의 기쁨은 한 순간이지만

사랑의 슬픔은 영원하죠

 

J'ai tout quitté pour l'ingrate Sylvie.
Elle me quitte et prend un autre amant.

당신은 아름다운 Sylvie를 위해 절 버렸고

그녀는 새로운 애인을 찾아 당신을 떠나

 

Plaisir d'amour ne dure qu'un moment.
chagrin d'amour dure toute la vie.

사랑의 기쁨은 잠시 머물지만

사랑의 슬픔은 평생을 함께 해요

 

Tant que cette eau coulera doucement
vers ce ruisseau qui borde la prairie,

초원을 흐르는 저 시냇물을 향해

이 물이 끝없이 흐르는 한

 

Je t'aimerai me répétait Sylvie.
L'eau coule encore. Elle a changé pourtant.

당신을 사랑하리라고 Sylvie는 말했었죠

물은 아직도 흐르는데 그녀는 변했어요

 

Plaisir d'amour ne dure qu'un moment.
chagrin d'amour dure toute la vie.

사랑의 기쁨은 한 순간이지만

사랑의 슬픔은 영원히 남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