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어스 - 기만의 시대, 허위사실과 표현의 자유 Philos 시리즈 17
캐스 선스타인 지음, 김도원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주주의는 시민이 권력의 주체임을 천명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여러 인프라가 필요하겠지만 언론의 자유로 대표되는 표현의 자유 역시 매우 중요한 전제 조건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소셜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허위 사실이나 가짜 뉴스의 양과  속도 측면에서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양상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 역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처벌하자는 주장은 자칫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켜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주요 인프라를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참으로 어려운 문제입니다.


“라이어스 (캐스 선스타인 著, 김도원 譯, 아르테, 원제 : Liars: Falsehoods and Free Speech in an Age of Deception)”는 허위 발언이나 가짜 뉴스의 영향력을 고찰함과 동시에 민주주의 시민으로서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나가야 하는지, 나아가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민주주의라는 정치 제도를 어떻게 지켜나가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책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허위 발언이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기관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약화시키고 분열을 일으키며 심지어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지요. 저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허위 정보가 퍼져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그 이후 일련의 사태를 대표적인 사례로 들고 있습니다. 


문제는 어떻게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허위 사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지일 것입니다.사실 쉽지 않은 질문입니다. 저자는  허위 발언에 대한 정부 규제가 필요하자는 데 동의하면서도 무엇보다 자율 규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에는 여러가지 방안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저자 역시 여러 방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는 투명성을 높여 사람들이 정확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안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운영하는 주체가 자율 규제를 통해 허위 정보에 라벨을 붙이거나 플래그 등 여러 수단을 강구하여 표식을 둠으로써 사람들이 정보의 진위를 알 수 있도록 한다던가 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또 다른 제안은 미디어와 온라인 플랫폼의 다양성을 증진하는 것입니다. 독점적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가짜 뉴스 등 허위 정보의 확산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편협한 관점과 의견 풀의 협소함으로 인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즉 저자는 다양한 관점을 장려함으로써 사람들이 더 넓은 범위의 의견과 정보를 얻음으로써 가짜 뉴스에 대응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특히 언론 규제에 있어 무엇보다 (명문화되지 않은) 사회적 규범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는 사회가 정직과 성실성을 더 강조하고 개인이 허위 정보를 퍼뜨린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하지만 저자가 사실과 허구의 구분에 있어 가장 강조하는 바는 시민의 리터러시를 높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책은 가짜 뉴스를 비롯한 허위 사실들이 언론의 자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요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허위 사실이 신뢰 약화, 분열, 혐오와 차별 조장, 폭력 사태 등으로 이어져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암적 존재가 될 수 있음을 저자는 논증합니다.  또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사회에서 언론 자유가 가진 민주주의라는 체계 안에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독자들에게 주고 있습니다.



#라이어스 #기만의시대 #허위사실 #표현의자유 #캐스선스타인 #김도원 #아르테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래과거시제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과거시제 (배명훈 著, 북하우스)”를 읽었습니다. 독특한 제목의 이 책은 배명훈 작가의 SF 단편소설들을 모은 소설집입니다. 

 


데뷔 이후 꾸준한 활동을 통해 독자들을 만나온 배명훈 작가의 이번 작품집은 SF 장르적 향기를 맘 놓고 뿌려대고 있는 멋진 단편들의 향연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수요곡선의 수호자’


소비 혹은 수요는 생산이 없으면 유지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 역도 성립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 역을 생각해본 적은 별로 없습니다. 대공황이 1930년대였으니 그 이후로 이어진 대소비 시대에는 생산을 중심으로 무한 소비의 시대가 되었으니 더더군다나 그 역을 생각할 틈이 없었다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생산성이 극단으로 올라가 수요가 따라갈 수 없다면?

네, 제대로된 SF적 사변입니다. 

작가는 이에 그치지 않죠. 바로 SF적 장치 중 가장 완벽한 도구라 할 수 있는 인공지능 로보트를 이야기에 배치합니다. 바로 수요곡선의 수호자로써 말이지요. 수요곡선의 수호자는 인류 문명의 수호자일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생산곡선의 함정에 빠지게 됩니다.  

배명훈 작가가 SF적 재미를 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역량을 가지고 있음은 이 작품을 통해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접히는 신들’ 이 작품에는 작품집의 다른 작품에도 공유되는 설정과 함께 작가가 발표한 다른 작품에도 등장하는 여러 설정들이 등장합니다.

가장 중요한 개념의 차원과 공간의 접힘. 접힘으로 완성되는 개체와 우주, 그리고 신.

‘인류의 대변자’에는 정말 어이없는 블랙 코미디적 상황이 펼쳐집니다. 보통은 블랙 코미디는 현실과의 괴리감이나 위화감이 느껴지고, 그 위화감 자체를 블랙 코미디적 특성이라 이해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 위화감이 없다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곤 합니다. 그걸 배명훈 작가가 해냅니다.  그 미묘한 결 차이를 부드럽게 맞춰내는 역량이 훌륭합니다. 




배명훈 작가는 장르적 글쓰기를 잘하는 작가이고, 작가 스스로도 이를 감추려고 한 적이 없습니다. 문학 활동 기간 내내 환상문학웹진인 ‘거울’의 필진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봐도 잘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 순문학계 (사실 순문학이라는 표현이 예전부터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고 있지만 통상적으로 자주 쓰고 있는 표현이다 보니 준용하기로 합니다.)에서는 배명훈 작가를 순문학 계열의 작가로 인식하고 있는 듯 합니다. 


#미래과거시제 #배명훈 #북하우스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에르난 디아스 지음, 강동혁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러스트 (에르난 디아스 著, 강동혁 譯, 문학동네, 원제 : Trust)”를 읽었습니다. 






작가인 에르난 디아스 (Hernan Diaz)는 데뷔작이라 할 수 있는 “In the Distance“으로 퓰리처상과 펜포크너상 쇼트리스트에 오르기도 한 작가인데 이번에 읽은 “Trust”는 두 번째로 발표한 장편소설입니다.  특히 이번 소설은 월스트리트에서 거대한 부와 권력을 쌓은 부부의 삶을 따라가면서 소설, 일기, 자서전, 회고록 등 다양한 형태의 진술들이 등장하는데, 이와 같이 변화무쌍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독자가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관계성을 포착하는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책은 1920년 무렵의 월스트리트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고 있어 기본적으로 역사 소설의 외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역사 소설로만 읽힐지는 미지수입니다. 드러내놓고 이야기하지는 않지만 모든 이야기는 결국 ‘자본’, 즉 ‘돈’에 대한 이야기로 읽히기 때문입니다. 인격화된 돈에 대한 이야기로로 해석한다면 좀 과한 해석일지 모르지만 그럴 여지도 분명 있습니다. 또한 돈은 그 자체로 권력의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실을 구부려 자본가의 실수를 보정할 수 있을 정도의 권력까지 가질 수 있음을 등장인물의 자신감 넘치는 발언으로 작가는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제목이자 신뢰라는 의미를 가진 영어 단어 ‘trust’가 쓰이는 여러 의미가 반전의 키로 활용되면서 이에 걸맞게 이야기를 다양한 시선과 서술 관점으로 전개되는 구성은 매우 독특한데, 전체 스토리라인을 전개하고 설득력, 독자의 몰입을 위한 작가의 독창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타이타닉’으로 잘 알려진 케이트 윈슬렛이 이 작품의 제작을 맡아 영상화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영상으로도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트러스트 #에르난디아스 #강동혁 #문학동네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등하다는 착각 - 왜 여성의 말에는 권위가 실리지 않는가?
메리 앤 시그하트 지음, 김진주 옮김 / 앵글북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등하다는 착각 (메리 앤 시그하트 著, 김진주 譯, 앵글북스, 원제 : The Authority Gap: Why Women Are Still Taken Less Seriously Than Men, and What We Can Do About It )을 읽었습니다.



권위와 성별에 대한 흥미로운 주장을 담은 책입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남성과 여성 사이의 권위와 권력의 격차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회의 지속적인 성 불평등을 탐구합니다. 그녀의 개인적인 경험과 광범위한 연구를 바탕으로 여성이 자격이 있고 유능한 분야에서도 여전히 남성보다 권위를 인정받지 못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로 인한 권위의 격차는 불공평할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습니다. 




저자는 권위 격차의 근원을 조사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이를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소년과 소녀이 사회화되는 방식의 차이를 추적합니다. 남자아이들은 단호하고 자신감 있게 행동하도록 격려받는 반면, 여자아이들은 예의 바르고 수용적이 되도록 가르침을 받는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양육 방식의 차이는 성인기까지 이어져 남성은 더 권위 있는 사람으로, 여성은 덜 유능하고 리더십 역할을 할 자격이 덜한 사람으로 인식할 수 밖에 없다는 논리적 귀결을 얻게 됩니다. 


(항상 사회학 서적을 읽을 때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 ‘사회’, 즉 전체적인 경향성을 의미하는 것이지 ‘개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 개인적인 사례가 떠오르는 경우가 많아 힘들기는 합니다.)


저자는 직장, 정치, 미디어, 심지어 개인 관계를 포함하여 권위 격차가 가장 두드러지는 다양한 영역을 독자들이게 보여줍니다. 여성이 해당 분야에서 높은 자격을 갖추거나, 지식 혹은 그와 관련한 경력이 풍부한 경우에도 여성이 얼마나 자주 간과, 무시되거나 혹은 심지어 해고되는지에 대한 수많은 사례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권위 격차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미디어에서 여성이 표현되는 방식입니다. 그녀는 여성이 종종 정형화되고 성적인 방식으로 묘사되어 그들의 신뢰성과 권위를 훼손한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은 결국 여성이 삶의 다른 영역에서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기 어렵게 만듭니다. 최근 미디어에서 묘사하는 부정적이거나 수동적인 여성의 모습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가 될 것니다. 


저자는 권위 격차를 영속화하는 데 있어서 무의식적 편견이 하는 역할을 고찰합니다.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종종 여성에 대해 무의식적인 편견을 갖고 있다고 주장면서, 이것은 여성에 대해 남성보다 더 가혹한 조건에서 시험, 판단될 수 밖에 없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지위에 오르는데 그만큼 더 힘들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행히, 저자는  여성이 직면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성역할에 대한 이해, 리더십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제고하는 한편, 무의식적인 편견에 도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회가 권위 격차를 좁히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안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책은 사회에 만연하게 퍼져있는 성으로 인한 불평등의 본질을 강력하게 보여주는 책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권위 격차를 해결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사례를 제시하고 우리가 보다 나은 미래를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해법 역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하고 싶습니다. 

 





 


 #평등하다는착각 #메리앤시그하트, #김진주, #앵글북스,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ES 2023 딥리뷰 - 모든 것은 AI로 연결된다
손재권 외 지음 / 쌤앤파커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도 어김없이 네바다주 라스베가스에서 CES가 열렸습니다. 이를 찾아가 볼 수 없는 사람들은 뉴스에서나 나오는 단편적인 소식에만 기댈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이를 깊게 리뷰한 책이 출간되고 있습니다. 올해도 역시 출간되었군요. 

“CES 2023 딥 리뷰 (손재권, 정구민, 오순영, 최형욱, 이용덕, 장진규, 주영섭 共著, 쌤앤파커스)”입니다.




ICT와 모빌리티 분야에 종사하면서 Tech 트렌드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가진 저자들이 CES 2023을 심층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술 동향, 미래 트렌드까지 도출한 책입니다. 


‘곧 변할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이전의 CES에서 읽을 수 있었다면 올해 CES를 통해 읽을 수 있는 메시지는 ‘이미 변했다’라는 것인 듯 합니다. 공저자 중 한 명인 손재권 대표도 비슷한 인사이트를 받은 것 같습니다. 소니 전시장에서는 ‘아필라 (AFEELA)’를 공개했다고 합니다. 이는 소니가 혼다와 합작하여 만든 전기차 브랜드입니다. 일반적인 모빌리티가 아니라 에픽게임즈와도 함께 힘을 합쳐 자동차를 인포테인먼트 기기로 재정의한 차량이기도 합니다. 소니는 자동차 회사로의 변화를 꿈꾸는 것이 아니라 모빌리티를 자신들이 가장 잘하는 분야에서 재정의하기로 한 것이지요. 특히 의미 깊게 다가오는 지점은 소니가 이번에 출품한 제품들 목록에 TV 등 일반 가전은 없다는 점입니다. 플레이스테이션을 제외하고 말이지요. 소니의 미래 전략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니의 한 직원은 그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2023년을 달군 많은 뉴스들 중 빠질 수 없는 것은 바로 chat GPT일 것입니다. AI의 새로운 가능성을 일반인들에게 보여주고 있지요. CES 2023에도 역시 많은 AI 기술들이 선보였다고 합니다. 특히 올해 강조되고 있는 부분은 보다 인간 중심적인 AI 기술들이라는 점이 독특합니다.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혹은 인간에게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는 AI 기술들이 눈에 띄었다는 의미입니다. chat GPT가 다른 AI 챗봇에 비해 좀더 각광받는 점에는 바로 자연스러움, 즉 인간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측면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CES (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 국제 소비자 전자제품 전시회라는  명칭으로 변역할 수 있는 이 전시회는 이제 가장 위상이 높은 전시회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아마 유사한 위상을 가진 전시회는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나 MWC (Mobile World Congress) 정도 손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명칭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이 가전 제품 위주의 전시회였을 텐데 어느 순간 ICT 융합 전시회의 면모를 가지더니 최근에는 자동차를 비롯한 모빌리티를 비롯한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에 대한 최신 기술과 제품들을 선보이기도 합니다. (사실 최근 CES는 가전쇼인지 오토쇼인지 구분이 잘 가지 않는다고들 합니다.) 

이제 명실상부한 ICT&M 최신 트렌드를 선보이는 장이 된 것 같습니다. 



 #CES2023딥리뷰, #손재권, #정구민,  #오순영, #최형욱, #이용덕, #장진규, #주영섭, #쌤앤파커스,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