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우리는 헤리티지 익스피디션 여행사의 격의 없는 분위기를 가식적이지 않은 태도로 여겨서 좋아했고, 로드니가 자아내는발견의 아우라를 즐겼다. 우리 님로드 백주년 기념 여행이 재앙으로 바뀐 것은 자연에 엄연히 존재하는 장애물이 그 못지않게 엄연히 존재하는 인간의 아마추어리즘과 맞물린 탓이었다. 나중에 들어 보니, 우리와 같은 시기에 같은 얼음을 만났던 <마리나 스베타에바>라는 배는 항로를 바꿔서 코먼웰스만(灣)을 통해 남극 대륙에 닿는 데 성공했다고 했다. 헤리티지의 허세에는 약간 귀엽고 신선한 면이 있었다. 우리 승객들이 모두 한배를 탄 운명이라는 느낌에는 거의 가슴이 뻐근해지는 어떤 감동이 있었다. 우리는 스스로 여행 상품을 구매한 관광객이라는 기분은 전혀 품지 않았다. 서로 낯선 사람들이지만 우연히 우정으로 만나서 세상에 남은 야생의 자연 중 가장 위대한 곳으로 함께 손잡고 용감하게 전진해 들어가기로 한 것이라고 느꼈다. 이런 여행은 낭만적이다. 하지만 위험도있는데, 아, 아쉽게도 우리의 경우에는 위험이 낭만을 능가했다. 만일 우리가 희고 거대한 세계의 바닥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면, 우리 실패한 여행에서 내가 한탄했던 바로 그 특징들을 나는 오히려사랑했을 것이다. 그래도 우리는 세상 사람들이 거의 보지 못한 종류의 아름다움을 직접 보았으니, 딱딱한 얼음 같은 아쉬움 대신 그 따스한 행복감을 마음에 남겼다. - P553
호주 언어학자 니컬러스 에번스를 알게 된 것은 2006년 우리가 같은 펠로십 프로그램을 할 때였다. 그가 내게 발리의어느 마을에 선천적 청각장애가 유전되어 농인이 표준이 된문화가 있다고 알려 주었다. 그 말을 듣고는 줄곧 그 마을에가보고싶었는데, 남극여행에서 좌절한 뒤 집으로 돌아오는길에 발리에 들러서 그 마을을 가볼 기회가 생겨 기뻤다. 내가 부모와 다른 아이들에서 칼라를 이상향처럼 묘사한글을 보고, 일부 독자들은 내가 이른바 고귀한 야만인의 원시적인 삶을 칭송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나는 벵칼라 같은 곳에서 사는 사람들의 고단한 삶을 윤색할 마음은전혀 없다. 벵칼라가 낙원인 것은 장애인 인권의 측면에서보았을 때뿐이다. 전 세계에서 농인들은 사회적 배제를 겪는다. 이상향이라는 곳이 비록 척박한 땅에서 농사로 자급해야하는 고단한 곳이더라도, 모든 사람이 수화로 말할 줄 아는 사회란 모든 사람이 공통된 언어로 유창하게 소통하는 세상이라는 이상에 대한 한 응답임에 분명하다. - P557
이런 지형은 또 다른 사회적 이상 현상도 낳았다. 리우의 특권층은 산사태 염려가 없는 해변 평지에 산다. 조나 술(남쪽 구역)이라고 불리는 그런 구역에 코파카바나, 이파네마, 레블롱 같은 유명 해변들이 있다. 그런 동네 사이사이 우뚝 솟은 언덕이 있는데, 그 고지대에는 지난 백여 년 동안 가난한 사람들이 정착했다. 리우 인구의 4분의 1 가까이가 파벨라라고 불리는 그런 가파른 산동네에 살지만, 대부분의 시내 지도에는 파벨라 내부가 자세히 나와 있지 않은 데다가 예로부터 파벨라에는 전기, 쓰레기 수거, 매립 하수관, 경찰의 보호가 없었다. 배타적인 동네인 조나 술에서도 어디서든고작 5분만 가면 파벨라가 나온다. 무니스의 표현을 빌리자면 <모가디슈에 둘러싸인 생트로페에서 사는 셈이다. 파벨라 내에서는 건축물이 규제를 받지 않고 세워지기 때문에, 비만 오면 집들이 무너진다. 도시의 번듯한 영역으로부터 고립된파벨라는 갱들이 지배하는 곳으로, 폭력이 끊임없이 벌어진다. 계 대부분의 도시에 빈민가가 있지만, 브라질의 다른 도시들도 포함하여 많은 경우 그 빈민가는 시 외곽에 있거나 시내라면 한군데에 고립되어 있다. 반면 리우의 파벨라는 쿠키에 박힌 초콜릿 칩처럼 도시 전체에 띄엄띄엄 박혀 있다. 특이한 지리 구조 때문에, 판자촌에서 발생한 총격 소리가 최고의 부자 동네에서도 들린다. 리우에서는 사회적 거리가 지리적 거리를 능가한다. 브라질 문화의 많은 부분이 리우의 파벨라에서 유래했다. 삼바가 파벨라에서 생겨났고, 최근 새롭게 각광받는 펑크 음악도 그렇다. 많은 축구 스타가 파벨라 출신이고, 브라질에서 제일 유명한 모델 중 몇 명도 그렇다. 사순절 이전에 열리는 축제 중에서는 세계최대 축제로 하루 200만 명이 거리로 나와 파티를 벌이는 리우의 카니발은 파벨라의 <삼바 학교들>에 크게 의지하고, 학교들은 누가 누가 더 화려하게 치장하나 경쟁한다. 프랑스 귀족들은 파리의 빈민가가 없는 프랑스는 프랑스가 아니라고 말하지 않을 테고, 이탈리아 상류층은 대부분 마피아를 부끄러워하며, 대부분의 미국인은 힙합 문화가 아무리 좋아도 교외를 택하지만, 리우에서는 특권층이 특권을 못 가진 사람들에게 감탄한다. - P570
베우트라미는 내게 이토록 많은 인구가 UPP로 득을 보고 있으니 시민들은 결코 갱단이 지배하던 옛체제가 다시 득세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정사업을 그만두겠다고 말하는 정치인은 표를 잃을 겁니다. 그런 선태은 불가능할 겁니다. 시민들의 삶이 너무나 나아졌으니까요.」UPP의 진정한 성공은 사회적 경제에서 두려움이 차지하던 역할을 축소시켰다는 점이다. 현재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가르치는 영국의개발도상국 전문가 그레이엄 데니어 윌리스는 리우의 목적이 <시민과 국가 사이의 거리를 공간적, 사회적, 심리적 거리를 줄이는 것>이었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PP가 파벨라에 계속 상주하겠다는 계획은 파벨라 주민을 얕잡아 보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치안 세력이 눈에 뻔히 보이지 않으면 주민들이 금세 범죄로 돌아갈 게 틀림없다고 여기는 것 같으니까. 미국의 도시 계획 전문가로 현재 리우에서사는 크리스토퍼 개프니는 이렇게 말했다. 「UPP 치어리더들은 <보세요, UPP가 들어가서 무장한 마약 밀수꾼들을 없앴습니다>라고 말하지, <우리가 한 무장 세력을 다른 무장 세력으로 교체했습니다>라고는 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시민 사회가 새롭게 번성할 메커니즘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한, 그들이 한 일은 사실 그것이 전부입니다. - P5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