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독약 창비세계문학 28
엔도 슈사쿠 지음, 박유미 옮김 / 창비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으로 인해 사람들은 무기력과 피로감, 체념으로 양심마저 잃어버린 일본.
미군포로를 생체해부한 사건을 일본인의 시선으로 그려낸 책.

사람의 인연 따위는 의지가 안되는 세상, 홀몸인 저는 전쟁이 어떻게 되어가는지도 몰랐고 신문 한줄 읽을 마음도 들지 않았습니다.
사실 조국이 이기든 지든 관심도 없었습니다. 한밤중 눈을 떴을 때들려오는 파도 소리가 요즘 들어 왠지 커지는 것 같았습니다. 어둠속에서 귀를 기울이고 있노라면 그저께 밤보다는 어젯밤이, 어젯밤보다는 오늘밤이 파도의 수런거림이 크게 느껴졌습니다. 제가전쟁을 느끼는 것은 이때뿐이었습니다. 커다란 북소리 같은 어두운 소리가 조금씩 커지고 높아짐에 따라 일본은 패망하고 우리는어디론가 끌려들어갈지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p106

그럼에도 이제 와서 이런 수기를 쓰는 이유는 웬지 무섭기 때문 이다. 타인의 이목이나 사회의 벌만을 두려워하고, 그것이 제거되면 두려움마저 사라지는 자신이 어쩐지 무서워졌기 때문이다.
무섭다는 건 좀 과장된 이야기이고 이상하다는 표현이 더 알맞을 것이다. 여러분에게 묻고 싶다. 여러분도 역시 나처럼 한꺼풀을벗기면 타인의 죽음이나 고통에 대해 무감각한가. 약간의 나쁜 지이라면 사회로부터 벌받지 않는 이상 별다른 가책이나 부끄러움을느끼지 않으면서 오늘까지 살아왔는가. 그리고 어느날 그런 자신이 이상하게 느껴진 적이 있는가. p1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과 바다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1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인규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패배 할지 잘 알지만 그래도 끝까지 덤벼보는 산티아고 할아버의 패기에 감탄한다.

노인은 바다를 건너다보고는 자기가 지금 얼마나 외롭게 혼자있는지 새삼 깨달았다. 하지만 그는 어둡고 깊은 바닷속에비친 무지갯빛 광선들과 앞으로 쭉 뻗은 낚싯줄과 묘하게 일렁이는 잔잔한 바다를 볼 수 있었다. 무역풍으로 인해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르고 있었고, 앞을 바라보니 한 떼의 물오리가 날아가는 모습도 보였다. 물오리들은 하늘을 배경으로 선명한 줄무늬를 이루었다가 넓게 흐트러졌다가 또다시 선명한 줄무늬를이루었다가 하면서 바다 위를 날아갔다. 노인은 바다에서는 그누구도 결코 외롭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p63

"하지만 인간은 패배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어." 노인은 말 했다. "사람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언정 패배하진 않아."  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OW TO READ 프로이트 How To Read 시리즈
조시 코언 지음, 최창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을 이해할 수 있는 쉽고 재미난 책이다.

프로이트는 《슬픔과 우울증 Mourning and Melancholia》(1917)이라는 글에서 이 전지전능함에 대한 환상을 버릴 때 느끼는 두려움이 바로 울병(melancholia), 현대 용어로 우울증(depression)을 일으킨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왜 어떤 사람들은 사랑하 는 대상의 상실 과정을 잘 견뎌내지 못하는지, 이 슬픈 과정을 견뎌내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고 있는 존재는 무엇인지 질문했던것이다. 프로이트는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위에서 소개한 동일시 현상을 찾았다. 즉 울병 환자들은 ‘동일화 또는 대상 상실 (object-loss)‘ 과정을 자아 상실 (ego-loss)‘ 현상으로 잘못 받아들임으로써 내면의 슬픔에 사로잡히게 된다는 것이다(SE 14, p. 249).

‘변화와 진보‘의 힘에 따르는 것처럼 보이는 생명현상은 사실 그 반대의 것, 생명체가 취하는 다양한 위장술 중에서도가장 원초적이며 기만적인 가면이라고 했다. 그리고 이 가면 밑에는 ‘나이가 많든 적든 한가지로태곳적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힘이 감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 ‘모든 생명체의 목표는 죽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괴상한 관점에서 보자면 진화의 최고 단계에서 쾌락에 이끌리는 인간의 모습은 다름 아닌
"각자의 방식대로 죽기"를 열망하는 생명체의 원초적 충동을 감춘 최신 위장술일 뿐이다. <죽음 충동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밤이여, 안녕 펭귄클래식 51
진 리스 지음, 윤정길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소설의 배경은1930년대이다.
그 시절 여자에 대한 시대적 사고와 절망감들을 헤아릴 수 없어 샤샤의 슬픔을 더 헤아리지 못해 내가 슬프다.

"왜 그렇게 슬퍼 보이세요?"
그래요, 나는 슬퍼요. 서커스의 사자처럼, 날개가 잘린 독수리처럼, 줄이라고는 달랑 한 개밖에 없는데 그나마 그 한 줄이끊긴 바이올린처럼, 자신의 늙어가는 모습이 서러운 나이 먹은여인처럼, 나는 슬퍼요. 슬프고, 슬퍼요. 아마 내가 내 인생을가리켜 ‘개똥 같은 인생‘ 이라고 말한다면, 내 슬픔을 잘 설명해줄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이 왜 짧은가 - 세네카의 행복론, 인생의 의미를 찾는 오래된 질문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루키우스 아니이우스 세네카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그렇지만 우리는 수명이 짧은 것이 아니라 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오. 인생은 충분히 길며, 잘 쓰기만 한다면 우리의수명은 가장 큰 일을 해내기에도 넉넉하지요. 하지만 인생이 방탕과 무관심 속에서 흘러가버리면, 좋지 못한 일에 인생을 다 소모하고 나면, 그때는 마침내 죽음이라는 마지막 강요에 못이겨 인생이 가는 줄 도 모르게 지나가버렸음을 뒤늦게 깨닫게 되는 것이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