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세계시민으로서의 삶을 요구하고 또 그렇게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웃나라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은 필요해 보입니다. 일본의 정체성에대한 연구는 여전히 ‘국화와 칼‘이 독보적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김필동 교수의 ‘일본의 정체성‘은 읽을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오랜시간 그들의 내면에 스며든 ‘천황‘이라는 상징과 교육된 ‘집단주의‘는 선진국이라 일컬어지는 일본을 이해하기 힘든 나라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이 책은 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일본 뿐 아니라 주변국들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를 만들어냈으면 합니다.

통합과 저항의 논리에서 항상 지배계급에 의한 통합의 논리가 승리하였고, 민중들에 의한 저항의 논리는 항상 국가의 탄압에 의해 쉽게 굴복되었다. - P26

그 결과 일본국민들은 근대사회가 도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유럽의 근대시민사회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제한된 자유를 부여받으며 끊임없이 천황에의 충성을 강요당하는, 이른바 ‘신민으로 전락하고말았다. 이것이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남긴 첫 번째 상흔이다. - P49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남긴 두 번째의 상흔은, 천황제국가체제의 성립에 따른 이단(異端)에의 철저한 탄압이다. - P50

세 번째는, 메이지 권력자들은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자국민들의 의식구조를 규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해외에도전파할 수 있는 보편타당한 가치로 규정하고 그것을 정당화하는 무모한 ‘성전(聖戰)‘을 감행함으로써 스스로 파멸의 길을선택했다는 것이다. - P50

천황을 통한 사상적 일체화를 구축할 수 있는 정치적 문화적 전통적 가치기반이 일본사회의 심층에서 소리 없이 축적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58

요컨대 정점으로부터 국민 개개인에 이르기까지 완벽한 정서적 제도적 일체화를 이룩하여 철저한 관리지배사회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일본의 근대화과정의 본질이고,
그 과정은 역설적으로 보면 국민의 의식세계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장악한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 P64

일본인들은 집단주의 문화의 안정과 번영을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장치를 ‘제도‘에 의존하는 것이아니라, 세켄과 같이 다수에 의한 공통의 가치판단이나 그에근거한 ‘관행‘ 등에 의지하려 했고, 또 그렇게 보이지 않는 ‘사회적 압력 속에 자신의 행동을 규제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Conan > 충분히 그리워하고 충분히 울어라

유래없는 전염병 시대에 우리는 조금 더 죽음과 가깝게 동행하며 살게 되었습니다. 죽음으로 인해 잊혀진다는 것이 그리고 잊는다는 것이 슬프지만 감정에 충실하면서도 의연하게 이겨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Conan > 재미있는 그림 이야기

이 글을 쓰던 2009년 미술학원을 다니던 초등학생 딸은 어느새 커서 서양화를 전공하는 대학생이 되었습니다. 시간은 빠르게 흐르는 것 같습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거서 2021-10-27 12:25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내 자식이 어린 아이여서 졸졸 흐르는 개울 같았는데 세월이란 약을 먹고 부쩍 자라서 나이가 20대가 되더니 요즘 대하 같이 느껴질 때가 있더라구요. 십 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처럼…
세상 아빠가 모두 그러하겠지만. Conan님이 따님을 얼마나 이뻐 하실지 쉽게 상상됩니다. ^^

Conan 2021-10-27 13:47   좋아요 1 | URL
자기가 하고 싶은게 있다는 것도 그리고 그걸 하고 있다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오거서 2021-10-27 15:41   좋아요 2 | URL
Conan님이 따님한테 울트라 수퍼 짱짱 든든한 울타리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붕붕툐툐 2021-10-27 16: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와~ 코난님 대학생 딸이라뇨!! 30대 아니셨습니꽈?ㅎㅎㅎ
그나저나 코난님도 북플 화석같은 존재시네요~ 2009년이라니요!!👍

Conan 2021-10-27 17:27   좋아요 1 | URL
ㅎㅎ 알라딘에서도 꽤 시간이 지난 것 같습니다. 검색해보니 Yes24에서 옮겨와 첫 주문을 한때가 2004년이고, 첫 리뷰를 남긴때가 2008년 이네요~^^
 

재인, 재욱, 재훈 삼남매의 사소하지만 따뜻한 초능력 이야기 입니다. 마블의 히어로들은 폭력적으로 빌런들을 제압하고 극적으로 사람들을 구하고 온동네를 다 때려 부숴놓지만 우리 이웃의 평범한 초능력자들은 자신의 사소한 초능력을 민망해하고 그 능력으로 사람들을 돕는 것을 기뻐 합니다. 이런 것도 초능력일까 싶은 삼남매의 초능력은 참 따뜻한 초능력 입니다.



이젠 별게 다 고장 나네 싶었다. - P24

"일부러 그런 게 아니라 더 섭섭하다니까?"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내처남이 다큐멘터리 감독 이승준 입니다.
10월 27일 ‘그림자 꽃‘이라는 영화를 개봉합니다.
간 치료를 위해 중국에있는 친척집에 갔다가 브로커에 속아 한국에 오게된 북한주민 김련희씨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아카데미상 단편 다큐멘터리 부문 후보에도 올랐던 감독인데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붕붕툐툐 2021-10-22 16:0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우와~ 이런 일이 있었네요!! 보고 싶어요!!😊

그레이스 2021-10-22 17:0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
함 봐야겠네요

새파랑 2021-10-22 17: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극장에서 상영하는건가요? 저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Conan 2021-10-22 19:49   좋아요 2 | URL
주말에 상영관 업데이트 된다고 합니다.
지금은 검색해보니까 상영관 수, 상영횟수가 아주 적습니다.ㅠㅠ
CGV 서울 - 구로, 목동, 신촌아트레온
경기 - 성남모란, 오리, 의정부, 파주문산
강원 - 원주

오거서 2021-10-22 19: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좋은 뉴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