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고 제목이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역사를 보는 시각을 조금 바꾸면 또 다른 면을 볼 수 있음이 신선하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맑고 화사한 봄날 입니다.
겨울동안 다니지 못했던 동네 산에 다녀왔습니다. 이제 매주 다녀야겠습니다. 살도 좀 빼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소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소설은 작가와 출판사의 스토리담당PD가 기획하고 개발했다고 책 말미의 프로듀서의 말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소설도 일반적인 제품들처럼 상품기획을거쳐 생산까지되고 있다고 생각하니 조금 당황스러웠습니다. 어쨋든 내용은 스케일이 무척 컸습니다. 지구의 땅속에서부터 목성까지 범 우주적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많은 이야기를 담다보니 몰입이 조금 안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도시에서는 가장 권력 있는 사람들일수록 깊은 곳에 살았다. 리원과 신록은 지하 1층에 살았다. - P35

인간은 그 인지적 한계 때문에 자신의 모순을견딜 수 있다. - P18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2-03-01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방주˝ 이미지를 멋지게 표지로 뽑아냈네요^^

Conan 2022-03-01 14:44   좋아요 0 | URL
책에서 묘사된걸 그림으로 아주 비슷하게 만든것 같습니다.^^
 

주원규 작가의 책을 여러권 읽었습니다만 ‘메이드 인 강남‘은 중고등학교 시절 열심히 읽었던 무협지 느낌 이었습니다. 강호에 숨어사는 각 분야의 나쁜 고수들이 벌이는 현실판 무협지 입니다. 실제 이런 일들이 일어날 수도 있을거라고 생각하고 있는 제자신이 슬펐습니다. 왜 실현 불가능한 상상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걸까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3-01 1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3-01 14: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의 전체 내용과는 큰 연관이 없습니다만 이미상 작가의 ‘이중 작가 초롱‘ 에서의 한 문장이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삶에 어떤 위기가 닥쳐야 소극성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지금까지 살면서 위기가 없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적극적으로 살았던 것 같지도 않습니다. 소극성이라는게 극복의 대상인지도 의문이기도 합니다.
계간 ‘소설 보다‘는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이해력이 부족한지.....






"예술가에게 필요한 유일한환경은 평화, 고독, 너무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즐거움뿐" - P103

온갖 사람이 나는 너다 Je suis……‘ 하며 다가왔고 초롱은 그들의 면면을 보며 ‘나너 아닌데. 내가 너면 나 정말 큰일인데 조용히 홀로 답답해했다. - P121

삶에 어떤 위기가 닥쳐야 소극성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 P1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