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미예수 2000
최용덕 편저 / 코이노니아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찬미예수 2000은 찬양곡이  2000곡이 아니라 주후2000년도에 발행 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 찬양집이 다른 찬양집과 다른 점은 모든 찬양곡을 손수 손으로 직접 필사 했다는 것 이다.  정성과 신앙과 기도의 산물인 셈이죠 .곡은 주제별로 편성 되어 있지요. 물론 가사 첫 단어로 곡을 찾도록 배려하고 있지요. 많은 곡을 싣다보니 가사가 작아서 좀 불편함은 있으나 정성이 담긴 훌륭한 찬양집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경 해석학 - 개역 수정판
루이 벌코프 지음, 윤종호 옮김 / 개혁주의신행협회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사실 성경 해석학 분야의 고전에 해당 된다.  원래 저자는 조직신학자이지만 성경 신학에 대한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 성경해석의 3원리를 제시 한다.  문법적 해석, 문학적 해석, 역사적 해석이 그것이다.  성경 해석의 기본 원리를 이해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건전한 성경 해석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서는 개혁주의 성경 해석학의 기본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숙한 그리스도인의 영적 기초
김순호 지음 / 예수전도단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교회 안에 겉은 성숙하나 신앙은 아이 수준인 사람들이 많이 있다. 저자는 성경(요일 2:12-14)을 근거로 영적 성숙의 과정을  갓난아이, 어린아이, 청년, 아비의 4단계로 설명 한다.1- 갓난아이-안정감이 없다. 성숙한 사람들을 흉내낸다. 일중독. 경쟁의식,  2-어린아이- 죄사함의 확신. 하나님과의 친밀함. 성령의 기름부음. 3- 청년- 인생의 지혜. 성령의 능력. 하나님의 음성에 익숙함. 영적 전쟁에 능함  4- 아비- 하나님의 친구. 영적 민감함. 일과 관계의 균형. 견고한 소명 의식.  이 책은 예수전도단의 DTS강의를 바탕으로 저술되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하여 영적 수준을 파악하여 영적 정진을 이루는데 큰 도움울 얻는다.  종교적 경력과 봉사로 평가하는 신앙이 아니라 내면 세계와 속 사람의 문제로 성숙을 측정하도록 돕는다.  이 책을 잘 활용하면 영적 성장과 성숙의 아름다운 열매가 맺히게 될 것이다.  영적 성숙을 기대하는 모든 사람의 필독서이다.  저자가 한국 교회의 실제적 문제인 영적 갓난 아이와 영적 어린 아이를 많이 다루다보니 영적 청년과 영적 아비에 대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좀 아쉽기는 하나 내용이 너무 너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1세기 문화와 기독교
임성빈 지음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 기독교를 문화신학적으로 접근한 책이다.  이 책은 크게 두가지 내용으로 요약 된다. 1- 21세기 문화의 특징인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 지구화 등을 분석한다. 2- 기독교 문화 형성을 위한 대안으로 변혁적 문화관을 제시하며 비전과 문제를 제시한다. 3- 신세대 문화와 성문화,디지털문화, 세대갈등, 여가문화, 기업문화, 음주 및 흡연 문화를 성경적으로 조망하고 교회의 과제를 다룬다.21세기를 사는 기독교인들은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충분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도인을 위한 문화 이해 예영 현대문화신서 11
문용식 지음 / 예영커뮤니케이션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도인들에게 방대한 문화 이해를 제공한 책이다.  이 책의 방대함이란, 1- 유럽에서 시작 된 후기구조주의와 구조주의 ,기호학, 신좌파문화운동, 미국의 반문화운동.포스트모던 운동등 광범위한 일반 문화이론을 언급한다. 2- 장 칼뱅, 아브라함 카이퍼, 존 웨슬리, 메이천, 라인홀드 니부어, 프랜시스 셰퍼등 중요한 기독교 문화론자들의 관점을 다 다룬다. 이 책은 복잡한 일반 대중문화 이론과 기독교문화이론을 총체적으로 이해 도록 돕는다. 다소 전문적이기는 하나 매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