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에 호소하여 정의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모든 것을 걸어야 했다. 그리고 전호리 같은 사람에게 도움을 받아야 했다. - P437
무슨 계획이 있는 거지, 그렇지? 원숭이 왕이 물었다. 실은 아무 계획도 없어. 그냥 시간을 버는 거야. - P443
계약서의 법률 조항은 길고도 복잡했지만, 핵심 문구는 단 여덟자에 지나지 않았다. 上賣莊稼, 下賣田地 계약 조건은 채무자가 담보물 환수권을 채권자에게 매각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 문구에 따르면 과부 이 씨는 사촌에게 ‘위의 작물과 아래의 토지를 판다‘라고 약속한 셈이었다. "흥미롭군요. 아주 흥미롭습니다." 전호리는 계약서를 든 채로 머리를 연신 끄덕거렸다. 역 지현은자신을 낚으려는 수작인 줄 알면서도 호기심을 참지 못했다. "대관절 뭐가 그리 흥미롭다는 게냐?" "아아, 진실을 티 없는 거울처럼 밝게 비추시는 영명하신 지현 나리, 이 계약서는 나리께서 직접 읽어 보셔야 합니다." 어리둥절해진 역 지현은 아역에게 계약서를 가져오게 했다. 잠시후, 지현의 눈은 튀어나올 듯이 동그래졌다. 계약서에, 검고 또렷한글씨로, 매각의 핵심 조건이 이렇게 적혀 있었다. 上賣莊稼, 不實田地 "위의 작물은 팔되, 토지는 팔지 않는다." 지현이 중얼거렸다. - P444
"장담은 못 하겠소. 병 중에는 약이 없는 병도 있고, 모든 도망자가 빠져나갈 구멍을 찾아 목숨을 건지는 것도 아니니까. - P447
그들은 알았을까? 자신들이 실은 죽은 이들의 뼈 위를 밟고 다녔던 것을? 망자들이 외치는 단말마의 절규를 무시했던 것을? - P453
"나도 영웅은 아니야. 그저 내 힘이 필요할 때 해야 할 일을 했을뿐이지." - P455
원숭이 왕은 쿡쿡 웃었다. "어쩌면 그리 영리한 자는아니었을 거야. 그래서 살아남는 법을 몰랐던 거지." - P456
하지만 왕수초는 자기가 목격한 것을 기록으로 남겼어. 그 열흘동안 죽어간 사람들이 100년 후에도 기억될 수 있도록 말이야.그 책을 쓴 건 용감한 일이었어. 오늘날 그 책을 읽었다는 이유만으로 만주족에게 쫓기는 사람이 있는 걸 보면 알 수 있지. 내가 보기에 왕수초는 영웅이었어." - P457
"전호리, 세상에 영웅 같은 건 없어. 사가법 상서는 용기 있는 사람이었지만 겁쟁이이기도 했고, 유능한 인물이면서도 어리석은 자였어. 왕수초는 기회주의자였기 때문에 살아남았지만 한편으로는영혼이 고결한 인물이었고, 난 이기적이고 허풍이 심하지만, 가끔은 나 스스로도 내가 한 일 때문에 놀랄 때가 있어. 우린 누구나 평범한 인간이야. 뭐, 내 경우엔 평범한 요괴라고 해야겠지. 그렇게 평범한 우리가 특별한 선택에 직면할 때가 있어, 그 선택의 순간에, 영웅적인 대의는 우리에게 자신의 현신이 되라고 요구하기도 해." - P458
"전호리, 양주의 백성들은 100년 전에 죽었어. 그건 무슨 수로도바꿀 수 없는 사실이야. 하지만 과거는 기억이라는 형태로 계속 살아가게 마련이고, 그래서 권력을 쥔 자들은 언제나 과거를 지우고침묵시키려 해, 원혼들을 땅속에 묻어 버리려고, 이제 자네도 과거를 알아 버렸으니 더는 무지한 방관자가 아니야. 만약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자넨 황제와 그가 부리는 혈적자와 한패가 되는 거야. 그들이 저지르는 이 새로운 폭력, 과거를 지워 버리는 작업에서 말이야. 왕수초가 그랬듯이 이제는 자네가 목격자야, 왕수초가 그랬듯이 자네도 어떻게 할지 선택해야 해. 결정을 내려야 해. 언젠가 숨을 거두는 날 오늘의 선택을 후회할지, 안 할지를." - P458
나한테 이야기 하나만 해 줘. 전은 원숭이 왕에게 말했다. 딴 데정신이 팔려서 이놈들한테 굴복하지 않게 말이야. - P463
난 영웅이 되기는 글렀지, 안 그래? 나한테도 진짜 용기가 있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자넨 특별한 선택에 직면한 평범한 사람이었어. 그때 자네가 한선택을 후회 하나? 아니, 전호리는 속으로 중얼거렸다. 그러고는 고통 때문에 의식이 흐려지고 이성의 빛이 천천히 꺼져 가는 동안, 굳게 고개를 가로저었다. 결코 후회하지 않아. 그 이상 뭘 더 바라겠나, 미후왕(美候王) 손오공은 그렇게 말하고나서 전호리 앞에 허리 숙여 절을 했다. 황제 앞에서 굽실거리는 절이 아니라 위대한 영웅에게 바치는 경배였다. - P469
역사적 사실 자체가 오랜 세월 동안 은폐되었기 때문에 또한 어쩌면 지금도 어느 정도는은폐되고 있기 때문에, 양주 대학살의 희생자가 정확히 몇 명이었는지는 영영 밝혀지지않을지도 모른다. 이 이야기를 그들의 기억에 바친다. - P4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