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같은 마음으로 이 책을 썼습니다.
어린 청소년들이, 젊은 청년들이 제가 혹독하게 경험해 깨달은 것들을 제 책을 통해 스펀지처럼 흡수할 수 있다면, 그들은 제 어깨 위에서 인생을 현명하게 시작할 수 있으니까요.
중력의 법칙을 어떻게 발견했느냐는 질문에 뉴턴은 "한 가지만, 그것 한 가지만을 생각했다"고 대답했다.
아인슈타인은 또 "몇 달이고 몇 년이고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99번은 틀리고 100번째가 되어서야 비로소 맞는 답을 찾아낸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도 몰입적 사고를 통하여 수많은 사업 아이디어를 얻었고,
혼다의 창업자인 혼다 소이치로도 몰입적 사고로 엔진을 개발했다.
아프리카의 초원을 거닐다가 사자와 마주쳤다고 하자.
이때는 이 위기를 어떻게 빠져나갈까 하는 것 이외에는 아무 생각이 없을 것이다.
이 상태가 바로 몰입이다.
몰입 상태에서는 한 가지 목표를 위하여 자기가 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발휘하는 비상사태가 발동한다.
발상력이 풍부한 상태로 유지하려면 한 가지만을 붙들고 있지 말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여분으로 진행해야 한다.
그것이 자신을 성장시켜 줄 것이다.
①준비기 : 토대가 되는 정보나 지식을 받아들인다.
②배양기 : 적극적으로 문제를 탐구한 뒤, 문제에서 한 발짝 떨어져 점검한다.
③발현기 : 아이디어가 탄생한다.
④검증기 : 아이디어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나답게 살기 위해 왜 우리는 약점 대신강점과 먼저 만나야 할까?
나에게도 탁월한 씨앗이 있을까?"
물론입니다. 씨앗이 없었다면, 그 씨앗이 탁월하지 않았다면, 당신은 지금처럼 태어나고 살아내지 못했을 테니까요.
그러나 ‘씨앗 질문’은 의미가 있습니다.
당신이 권태로울 때 당신이 지쳤을 때,
삶의 방식을 바꾸고 싶을 때 떠오르는 질문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