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할 수 있으면 최대한 피하고 싶은 책이었지만 읽고 있으니 작가가 하는 것을 도저히 따라갈수 없다는 부담감이 넘쳐나서 더욱 부끄러워졌다.쉬운 일이 아니다. 고기가 주식 같이 되버린 식생활에 고기를 줄이거나 먹지 않는 일을 결심하는 일.편하게 쓰던 비닐과 플라스틱을 대신해 에코백과 플라스틱을 대체할 용기를 매번 갖고다니거나 그것들이 필요없는 곳을 찾아내서 시간내어 찾아가 사는 일.자동차를 대신해 걷거나 자전거나 대중교통을 타고분리수거의 최대한을 하는것새로운 전자제품에 관심두지 않는것이 여름에 에어컨을 켜지 않는것인터넷을 핸드폰을 쓰지 않는것새옷을 사지 않는 것 나는 주부인데도 해당 되는게 별게 없어서 너무 부끄럽다.할 수 없다기 보다 내가 할 수 있는 건 뭐가있지를 떠올려본다. 그리고 지구보다 내 건강을 생각해서라도 친환경은 답이 될 수 있다.전반적인 쓰레기 문제의 구조를 깨기 위한 행동들은 사실 나 하나만 한다고 해서 이게 의미가 있나 싶을때가 많다.지자체나 정부에서도 좀 과감해질 필요가 있지 않나?멀리보고 큰문제의 실마리가 풀어진다면 그렇게 하는쪽이 돈 좋아하는 관료들이 볼때도 경제적인 일이 아닐까?15분 편하기 위해 쓴 비닐은 썩는데 500년이 걸린단다 비용을 매기자 오히려 죄책감 없이 쓰게돼 사용량이 더 늘어버렸다고한다. 방글라데시 세계 최초! 2002년 비닐봉지 전면 금지 케냐 2017년부터 소지만 해도 벌금 or 징역!르완다 공항에서도 비닐 압수. 환경 모범국 탄자니아 입국 시에도 플라스틱 압수 조치 칠레 전국적으로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 금지프랑스 2016년부터 50μm 이하 비닐봉지 금지. 친환경 봉투 유도독일 2022년부터 비닐봉지 판매 금지. 재사용 장려이탈리아 생분해성 봉투만 허용. 영국 비닐봉지 유상화(세금). 소비량 95% 감소친환경일수록 세제혜택과 리워드 개념을 도입하는 등 적 극적을로 정책을 펼쳐야한다고 본다. 이건 개인이 여기저기 나서기도 해야되지만 거대한 흐름으로 해내야하는 물결로 받아들여져야한다고 본다. 조금 강압적이더라도.지금 지구는 이미 스스로 돌아갈 수 없는 상태가 되었는지 모른다. 이미 바다를 메우고 하늘을 지나 우주에까지 간 쓰레기의 탑이 해놓은 일을 보면 자신에게 제일 해롭고 나쁘기만한 인간종을 어떤것보다 먼저 사라지게 하고 싶을것이다.
원데이를 최근에 다시보게됐는데 _앤헤서웨이 영화중 특히 좋아하는 영화라서 지나치질 못했다. 두번째 본 상황에 역시 사랑은 타이밍이란 말은 진리인가싶고 요즘 앤헤서웨이는 나이를 먹었는데도 이때랑 별차이가 없구나라는 딴생각도 하고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2도 나온다니 여전한 활동량이 대단하다 싶다.사랑의 증명이란 책은 듣는책으로 봐서(요즘 눈이 쉬 피로해져 팔할이 듣는책인것같다) 본의아니게 두번이나 듣게된 책이다. 최근 yes24 사태로 그 여파때문인지 크레마 책장에 쟁여놓았던 책들이 일시에 사라져 다운목록에서 다시 다운하는 일이 벌어졌는데 긴가민가하며 다운받아 듣고보니 예전에 들었던 내용이다. 근데왜 지금 다시 새책인 기분인가? 로 연결되며책도 타이밍, 사랑도 타이밍이란 전제에 흔쾌히 고개를 끄덕한다. 예의 책에서 운명타령하는 주인공의 뜨드미지근한 행동과 반응의 이면을 찬찬히 돌아보면 첫번째 읽었을땐 전혀 공감되지 않던부분들이 두번째엔 또 왜 그랬을까로 귀결되며 그럴수 있지 로 술렁 넘어가버리는 것이다.에세이적 소설의 주인공인 작가가 남성인 상태의 차분차분한 목소리로 쓴 만남과 헤어짐의 이유 다시 만나고 난 뒤 설렘상태의 표현등은 여자작가가 쓰는 바와 크게 다를바가 없는데 왜 새롭지 ? 라고 느꼈다.성별과는 상관없이 이전에 읽었을때 이야기를 따라간 힘이 딸려서 였을건데 그렇다하더라도 이런 신선함이라면 이후에 있을 그의 운명타령이 또 듣고싶다는거다.
초반 버뮤다삼각지대 비행기가 사라지는 통에 sf인가 싶으면서 너무 촌스러웠는데 이후 과거의 시간대가 교차되고 사건이 진행된 뒤에야 읽을만해졌다.완벽해보이지 않았지만 또 1986년 이란 시간을 생각하면 또 그럴수 밖에 없겠나 싶고,작정하고 속이려 든다면 어쩔수없이 속을수밖에 없다는게 겪어보니 드는 생각이고 . 그 지점을 교묘히 잘 헤쳐내는게 추리소설류가 하는 일인가도 싶다.자신의 실수를 이유로 헤어질것을 생각하고 말 할 수 없는 치명적 실수를 이유로 죽음을 가장한 실종상태가 스스로 된다는 것이 얼마나 상대방을 무시하는 태도인가? 어쩔 수 없었다는걸 알면서도 또 어쩔수 없이 남겨진 사람에게 마음이 기우는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물론 올리비아는 스스로 딘에게 빠져나와 가브리엘과의 안정적인 삶을 누리긴 하지만 20년여를 애태우는 과정이 역시나 힘들어 보였다. 그랬는데 그렇게 죽은 자신의 남편이 범죄자라는걸 알게 됐을 때 그 충격은 그건 또 어떨까? 가늠도 안된디. 가정이라도 숨이 조여오는 기분.점점점점 폭발지점에 이러르는 형식인데 초반을 넘기면 그래도 읽을만한 소설
내란은 아직 끝이 안보이지만뉴스는 좀 덜 듣고책을 좀 봐도 될 때는 된거같다.트럼프야 이스라엘아 전쟁 좀 그만해라책 좀 보자
에도판 상담소 느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