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자병법 - 이겨놓고 싸우는 인생의 지혜 ㅣ 현대지성 클래식 69
손무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10월
평점 :
전쟁이란, 반드시 백성과 국가를 지키는 수단이어야 한다.
손자병법을 읽는다고 하면 전쟁, 전략 그리고 승패라는 단어가 먼저 떠올랐다. 전쟁에 이기기 위한 책을 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동서양을 넘나들며 찾아 읽는것인지 어릴 때는 잘 몰랐다. 솔직히 성인이 되어서도 발췌본 등을 읽었을 뿐 정식으로 읽을 생각을 하지 못하였다. 이런 오해로 아직 접하지 못한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서평을 적어보려 한다.
우선 손자병법의 저자 손자(이름 손무)는 전쟁을 부추기거나 즐기는 사람이 결코 아니었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방법’을 먼저 말하였고, 서두에 적은 것처럼 가급적이면 전쟁이란 백성과 국가의 재산을 잃기 마련이므로 하지 않는 쪽을 권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할 수 없는 전쟁이 국가에도, 개인적인 삶 가운데서도 찾아오기 마련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우리가 잘 아는 ‘지피지기’, 즉 상대를 알고 나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부분이 노자의사상과 연결되어 있다라는 것도 새로이 알게 되었다.
말하자면 손자병법은 노자의 철학을 전쟁이라는 현실의 전장에서 피워낸 전략적 철학서라 할 수 있다. 105쪽
도덕경에서도 전쟁은 되도록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며 전쟁의 참상을 알린다. 공통된 지점은 또 있다. 상대를 아는 것보다 자신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뒤이어 따르는 ‘백전백승’이란 것이 흔히 알려진 것처럼 무조건 승리한다가 아니라 위태롭지 않을 수 있다라는 의미였다. 손자는 전략을 잘 세우고 상대와 나의 병력등의 사항을 잘 살피면 적이 언제 어떻게 공격하더라도 패하지 않고 지켜낼 수 있지만, 적을 이기는 것은 상대의 허점이 드러나는 때를 놓치지 않아야 하므로 상대를 패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그런가하면 전략을 말할 때 형과 세가 있는데 형은 우리가 잘 아는 병력 및 군사력 등 눈으로 보이는 자원과 형세라면 ‘세’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가지는 손자병법의 중요한 개념이기도 한데 얼핏 보면 상대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인재등용’이라는 지점에서 이 두가지는 함께 붙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인재를 등용할 때 책만 보고 경험이 부족한 사람을 장수로 임용했을 때 벌어질 수 있는 실패사례와 신분의 귀천을 넘어 능력을 보고 삼고초려하며 공을 들여 등용했을 때 어떤 결과가 벌어지는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무엇보다 전쟁은 하지 않고 이기는 것이 중요한 만큼 무엇보다 중요한 명분, 즉 백성이 함께 인정하고 따를 때에 그 영광이 허락된다. 민심을 잘 읽고 인재에 대한 덕이 있는 군주와 그렇지 못한 군주의 결말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여러 편에 걸쳐 구체적이고 흥미로운 사실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제대로 익힐 수 있어 독서하는데 흥미와 유용함을 두루 누릴 수 있었다. 그렇다보니 한 챕터(총 13편)을 읽는 데 40분 이상 소요되었다. 읽고 또 적어가며 읽다보니 꽤 긴 시간이 걸렸지만 덕분에 손자병법, 지피지기 백전백승의 원의미를 잘 깨달을 수 있었다. 손자병법은 최근 내한한 빌 게이츠가 추천한 필독서에 포함되어 있어 새삼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마침 현대지성 클래식 시리즈로 만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역자분의 통찰력과 적절한 예시 무엇보다 컬러판 자료덕분에 지루한지도 모르고 읽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그동안 왜 많은 이들이 손자병법을 인간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에 올렸는지 납득이 되었다.
전쟁은 본질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의 연속이다. 따라서 전쟁의 승패는 단순히 병력의 규모나 무력의 크기에 따라 갈리는 것이 아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국면에 얼마나 민첩하게 대응하는가, 전략과 전술을 얼마나 정밀하게 수립하는가, 그리고 지휘관이 그것을 얼마나 기민하게 운용할 수 있는가에 따라 전쟁의 향방이 결정된다. 195쪽
전쟁은 하지 않을 수 있으면 좋고, 하더라도 이겨놓고 (상대와 나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여 결코 위태롭지 않은 상태) 시작해야 하며, 시작하더라도 그 순서와 명분이 개인의 사심이나 과욕이 되지 않아야 하며 특히 당장의 승리에 고취되지 말고 장기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직접 읽고 마음에 간직할 수 있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