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하루살이


1. 영화 <폭락>. 2025년 1월 15일 개봉. 4월 23일 넷플릭스 오픈. 대한민국. 드라마. 101분. 15세 이상 관람가. 고 송재림 주연. 권도형의 테라, 루나 폭락 사태 실화를 바탕으로 함. 사건의 진실이라기 보다는 권도형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풀어냄. 영화 속에서는 양도현이라는 인물로 그려지고 마미라는 코인을 개발한다. 실제 권도형과 얼마나 닮았는지는 모르겠다. 성공하면 기업가, 실패하면 사기꾼? ★★☆ 5점/10점


2. 고등학생 도현은 대치동에 위장전입해 학업에 열중한다. 하지만 그토록 고대했던 교환학생의 기회는 부자이지만 장애인이었던 친구에게 빼앗긴다. 그런데 알고보니 이 친구는 장애 특혜를 받기 위해 장애인 행세를 하고 있었다. 대학에 들어가서 창업동아리에 가입했는데, 한 선배가 창업지원금으로 해외여행을 하고 분식회계를 부탁한다. 도현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이 눈 먼 돈임을 알게 되고, 각종 창업 지원 프로젝트에 도전해 10억에 가까운 지원금을 받는다. 물론 창업은 모두 망한다. 정부지원금은 청년들이 도전해서 망해보는 경험을 위한 돈이라 생각해서아무런 죄책감없이 일을 저지르고 개인적으로 유용한다. 이후 잘 나가는 청년투자자 케빈으로부터 거액의 암호화페 창업 투자금을 받는다. 케빈은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는 환상이 돈을 가져온다"며 돈이 복사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도현의 대담함은 이제 억 단위가 아니라 조 단위가 되었다. 


3. 권도형은 현재 미국에서 재판을 받고 있다. 2022년 60조 원에 가까운 피해액을 남긴 '폰지 사기'의 주범으로 여겨진다. 테나와 루나라는 암호화폐가 열흘 만에 아무 쓸모가 없을 정도로 폭락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았다. 하지만 권도형은 무죄를 주장하고 있다. 무죄와 유죄를 가늠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이 만든 가상화폐 제도의 부실함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의도적으로 투자를 유도했는지의 여부일 것이다. 영화 <폭락>은 과거의 행적을 통해 테라와 루나가 사기였을 확률이 높음을 시사하면서도 살짝 애매한 위치에서 바라보고 있다. 실제 많은 스타트업이 성공하면 기업가로, 실패하면 사기꾼으로 내몰릴 가능성을 품고 있으니 말이다. 영화만으로 보자면 과거의 행적을 돌아보는 일련의 사건들이 조금은 느슨하게 이어져 긴장감을 찾아볼 수가 없다. 러닝타임이 10여 분 정도 줄었다면 더 낫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다. 게다가 정확히 영화 <폭락>을 통해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지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도 영화적 재미를 잃은 부분이라 생각된다.  


4. "있는 놈이 더해"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맛을 잘 안다"와 같은 말은 기득권과 경험치를 은유하는 말일 것이다. 영화 <폭락>에서는 소수자를 위한 혜택이나 지원금을 소위 부나 권력을 지닌 사람들이 더 잘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양도현은 이런 모습을 지켜보면서 세상에 눈 먼 돈이 있음을 알게 되고, 뛰어난 머리로 이 눈 먼 돈을 잡아채는 방법을 익히게 된다. 그리고 점차 눈 먼 돈을 넘어 욕망으로 가득 찬 돈을 가로채는 데까지 나아간다. 영화 <폭락> 속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 현실 속 일부에서 눈 먼 돈을 찾아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애당초 한 번 실패로 인생이 끝장 날 수 있는 위험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임에도 그 관리의 부실로 있는 사람들의 용돈으로 전락한 것이 눈 먼 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눈 먼 돈을 못 가진 사람이 바보 취급 받아서는 기회의 공정성이 훼손되어진다. 눈 밝은 지원금이 필요한 곳에 골고루 쓰여질 수 있는 관리와 체계가 필요하다. 눈 먼 지원금은 바늘 도둑을 소 도둑으로 키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