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하루살이

1. 넷플릭스 시리즈. 6부작, 25년 3월 26일 오픈. 아르헨티나. 스릴러, 미스터리. 청불. 할런 코벤 원작.(스페인, 프랑스, 영국, 아르헨티나 등 여러 국가에서 그의 작품을 시리즈로 만들어내고 있다. 현재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는 할런 코벤 시리즈는 11개나 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용서할 수 없는>이라는 제목으로 출판.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접한 할런 코벤 원작 시리즈 중 연출적 측면이 아닌 이야기적 측면만으론 제일 흥미진진하다.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의 빼어난 풍경을 배경으로 그루밍의 위험성을 다룬다. ★★★★ 8점/10점

  

2.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의 바릴로체라는 도시에서 소녀들의 실종과 피살이 연이어 발생한다. 저널리스트인 에마 가라이는 선정적이지 않으면서도 범죄자들을 폭로하는 기사로 디지털 미디어 내에서 유명세를 얻고 있다. 에마는 채팅을 통해 소녀들을 유혹하여 성범죄를 저지르는 범인을 쫓다 지역사회에서 존경받고 있는 레오 메르세르를 만나게 된다. 이번 사건의 범인이 과연 레오일까? 에마는 혼돈에 빠진다. 


3. 넷플릭스 시리즈 <덫>의 배경이 되는 도시는 아르헨티나의 바릴로체다. 짙푸른 호수와 만년설이 있는 높은 산, 빙하 등이 어우러져 휴양도시로 유명한 곳이다. 보트타기와 트래킹, 등반 등 각종 레포츠를 즐기기에도 좋다고 한다. <덫>의 이야기를 끌고 가는데 더할 나위없이 좋은 배경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풍경을 중간 중간 카메라에 담아내고 있어 큰 화면으로 본다면 꽤 볼만하다. 그렇다보니 시리즈 <덫>에 비쳐진 아르헨티나의 삶이 퍽 풍요로워 보인다. 


4. 이야기의 주요 소재는 인터넷 언론과 채팅 앱, 그루밍이라고 볼 수 있다. 그루밍이란 손질, 다듬기, 차림새라는 뜻이지만,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길들이기를 통해 성적 학대, 착취 등의 성범죄를 일컫기도 한다. 일종의 가스라이팅이라 할 수 있다. 할런 코벤은 <미싱 유>에서는 데이팅 앱을 소재로 스릴러를 써나갔는데, 최신 미디어의 문제점을 파악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능력이 탁월해 보인다.    


5. 이번 시리즈 <덫>에서는 뉴미디어라 할 수 있는 라이브 방송이 언론으로서 갖는 힘과 부작용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우리도 유튜브가 갖고 있는 장점과 더불어 그 폐해로 인해 국가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지 않은가. 여기에 더해 국가적 폭력 장치라 할 수 있는 경찰이 권력의 통제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없는 측면도 드러난다. 어쨋든 <덫>의 주인공 에마는 그루밍 범죄자를 쫒다가 일종의 함정 수사로 범인을 맞닥뜨린다. 하지만 이 범인은 청소년은 물론 주위 사람들로부터 신망받는 존재다. 그리고 본인 또한 자신이 범인이 아님을 주장한다. 하지만 에마는 라이브 방송을 켜고 일종의 덫에 걸려든 범죄자 레오를 다그친다. 일종의 '선빵'이다. '아니면 말고' 식 보도라 할 수도 있겠다. 물론 에마는 이런 식의 보도는 하지 않는다. 하지만 믿음이 배신당했다는 감정적 파도가 그의 이성적 판단을 흐리게 만든다. 에마의 의도는 아니지만, 우리의 현실에서는 이런 식의 보도를 너무나 쉽게 접할 수 있다. 그 밑엔 유명세와 이를 통한 금전적 이득이 있다. 언론인으로서의 에마를 좇아가는 재미도 상당하다.


6. <덫>에서는 부모와 자식 간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도 생각거리를 준다. 아이들은 분명 부모에게 도와달라는, 또는 이야기를 들어달라는 신호를 주지만, 부모는 이 신호를 쉽게 알아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에겐 부모의 사정이 있어서다. 그러다보니 아이들의 기대고 싶은 마음은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기도 한다. 이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는 마음이 쉽사리 그루밍의 타깃이 될 수 있다. 그렇기에 필요한 것은 아이에 대한 믿음이다. 그리고 그 신호를 알아챌 수 있는 마음가짐이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다. 언제든 기댈 수 있다는 믿음을 갖도록 아이를 대해야만 가능한 일이다. 디지털 세상의 수많은 유혹 속에서 어른은 이 믿음의 버팀목을 지탱할 수 있을까.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