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의 본질을 꿰뚫는 이야기꾼, 문자 너머를 읽는 인문학자,
김만수 교수의 스토리텔링 리부트
구술적 이야기, 아날로그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가 동시에 공존하는 시대,
컴퓨터를 새로 켜듯, <스토리를 리부트>하라!
-----------------------------------------------------------------------
너무 이야기만 좋아하다 보면 가난을 면치 못하는 것일까. 밥 먹을 때에는 아무 말 말고 밥만 먹으라고 가르쳤던 예전의 어른들 말씀은 맞는 것일까. 이야기를 좋아하는 민족은 실용을 중시하는 민족보다 못사는 것일까. 아니 그렇지 않다. 이제 우리는 이야기의 시대에 산다.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훨씬 행복하게 잘사는 세상에서 우리는 말들의 웅성거림, “말들, 말들, 말들”이 넘쳐나는 현상을 목도한다. 최근 스토리텔링을 이론화하기 시작한 서사론자들은 이야기의 근원을 원시인들의 ‘캠프 파이어 모델’에서 찾는다. 사냥의 순간에 맞이했던 위험한 경험들, 사냥을 끝낸 이후의 행복한 포만감, 사냥에 관련된 지식의 전수와 모의훈련, 사냥의 성공을 위한 간절한 기원 등등. 동굴 속의 어둠에서 시작된 말들은 점차 동굴 밖의 빛의 세계로 옮겨가며 점차 다채롭게 펼쳐진다. 그 만화경과 같은 세상 이야기를 시작해 보기로 한다.
- 《스토리 리부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