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일간 미술관에서 외국어 공부하기



암스테르담 국립박물관과 반고흐 미술관에 다녀왔다


국립Rijks 박물관museum과 판van 호흐gogh 미술관은 걸어서 10분 거리로 바로 앞에 있다. 안국역 국립현대미술관과 고궁박물관, 용산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글 혹은 아모레퍼시픽 사이 거리 정도다


양과 종류에 압도된다. 너무 많다. 예술의전당 2만원 전시 하나 보는 호흡으로 다 둘러볼 수 없다. 하루를 써야한다. 언젠가 국립중앙박물관과 간송박물관이 힘을 모아 루브르처럼 쏟아지는 듯이 많은 양의 고려 불화, 조선 서화와 도자기 전시를 할 수 있을까?


항상 책에서 이미지로만 봐왔던 얀 아센 반 레이넨의 1650년경 작품 <위협받는 백조(The Threatened Swan>에 깜짝 놀랐다. 작은 프레임으로 봤을 때는 그냥 새를 잘 그렸겠구나 싶었는데 실물로 보니 화룡점정격으로, 프레임에서 튀어나올 것 같은게 아닌가. 남북조의 양승요가 반 레이넨의 전생임이 틀림없다. 그외에도 정물화 컬렉션에서 감동이 있었다. 괜히 이슬람에서 생명체 모방을 금지시킨 게 아니다. 예술가는 창조주와 마찬가지로 숭배될 가능성이 있다. 17세기 네덜란드의 이머시브 회화다.


흑백과 컬러TV를 거쳐 디지털에 4D에 올레드까지 기술이 발달했다. 앞으로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거쳐 뇌척추 인터페이스로 오감전달까지 가능하게 될테다. 인류는 자연의 선명한 재현과 사물의 정밀한 모방 그리고 감각의 온전한 전달을 향해 분투하고 있다.


한 번 유럽 미술관을 가본 사람들은 앞으로 돈을 많이 벌어 다시 와서 더 많은 미술관을 다니겠다고 마음 먹게 된다. 그렇게 마음먹게 할 정도로 미술관 컬렉션이 참 좋다. 이전에는 왕족과 귀족과 일부 부르주아만 향유할 수 있던 문화다. 좋은 시절이다.


판 호흐 미술관에서는 고양이를 건졌다. 의외로 귀여운 구석이 있네. 네덜란드 친구가 추천해준 아이스크림을 먹었다. 다른 곳에서 맛볼 수 없는 녹진한 우유맛이다. 연유와 우유를 반도체 스택 쌓듯 뭉쳐놓은 저항감 있는 크림이다. 홋카이도 우유도 물이라고 여겨질 정도다. 가게명은 van der linnde다



물론 지금 갔다온 것은 아니다. 6년 전 7월이다. 코로나도 겪지 않았을 시절의 이야기다. 


한국말의 선어말어미 '왔'은 과거형 표지라서 틀린 말은 아니다. 옛날에 갔다왔다는 말이다.


앞으로 자주 가고 싶다. 일단 아쉬운대로 일본, 대만, 홍콩이라도 가고 싶다.


SNS에 스친이 나고야에 갔다. "아이고야 나도 나고야 가고프다 나고야 좋아해 나도야"라고 댓글을 달았다. 라임이 좋다고, 대댓을 달아주었다. 그 메시지는 나고야로부터 온 데이터였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