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5/04/26/AXXWAMJ76BCV7AEMIFNPPPPXCI/
100년 전, 그림 사러 모네 집까지 찾아간 일본인
[아무튼, 주말]
[최은주의 컬렉터&컬렉션]
유럽 돌며 서양 걸작 수집한
日 사업가 마쓰카타 고지로
최은주 서울시립미술관장
입력 2025.04.26. 00:33
마쓰카타 고지로(1865~1950). 국립서양미술관은 그가 수집한 컬렉션을 발판 삼아 1959년 문을 열었다. 그는 태생이 금수저였다. 부친이 메이지 시대 총리대신을 두 차례 역임한 마쓰카타 마사요시. 셋째 아들이던 그는 일찍이 미국 럿거스대·예일대에서 유학하며 서구 문물을 적극 받아들였다. 학업을 마친 후 귀국해 부친의 비서관 등을 지낸 후, 1896년부터 가와사키 조선소(현 가와사키 중공업) 초대 사장으로 일했다. 당시 조선업은 전쟁으로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고, 불과 몇 년 새 천문학적인 성과급을 받게 된다.
그 돈으로 그는 미술품 구매에 열을 올렸다. 전해지기로는 그가 당시할 수 있던 돈은 3000만엔, 현재 가치로 약 3000억원에 이르는 거액이었다.
마쓰카타는 프랑스 정부가 국립장식미술관 문으로 쓰기 위해 로댕에게 주문했다가 계약을 파기해 석고 상태로 방치돼 있던 ‘지옥의 문’을 브론즈로 주조하는 비용을 부담하기도 했다. 남아 있는 계약서에 60만프랑(약 142억원)이라는 엄청난 숫자가 적혀 있다. 마쓰카타 덕분에 ‘지옥의 문’은 청동으로 되살아날 수 있었다. 지금 국립서양미술관 입구에 서 있는 ‘지옥의 문’은 같은 틀에서 주조된 작품. 여담이지만 삼성문화재단이 이 ‘지옥의 문’ 7번째 에디션을 소장하고 있다.
한국화가, 동양화가, 서예가, 사기장, 배첩장인, 민화가 등에게 인사이트
도쿄 국립서양미술관은 가와사키 조선소 사장 마쓰카타 고지로가 현재 가치로 3천억에 이르는 거금으로 수집한 미술품을 보관하고 있다.
우리는 교과서에만 본 모네, 고흐지만 옆나라에는 모네, 고흐 등의 근대서양미술품을 실제로 소장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 마쓰카타가 모네과 함께 찍은 흑백사진도 있다.
심지어 그는 프랑스 정부가 국립장식미술관 문으로 쓰기 위해 로뎅에게 주문제작했다가 재정난으로 계약파기해 방치되어있던 지옥의 문을 청동으로 주조하는 비용 전체를 부담하기도 했다.
20세기 초의 일본이란, 아무리 제국이고 동양 최고라고해도 유럽인에게 낯설지만 먼 곳이었을텐데, 로뎅 모네 아무도 극동에서 온 생경한 이방인이 돈이 많은데다가 자기 작품을 사고 지원해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지 못했을 것이다
로댕이나 모네가 바라보는 세계는 프랑스 주류 화단에 고정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것밖에 못 봤을 것이다. 그들로부터 평가에 목매고, 프랑스 안에서 얼마나 자기 위신을 높일 것인가에 생각의 초점이 국한되어 있었을테다.
전혀 모르는 외국의 누군가가 나에게 무엇을 해줄 것이라고 생각조차 하지 못했으리라는 말이다. 최소한 교육받고 커리어를 쌓아나갈 때 모르는 일본인에게 지원받을거라고 염두에 두고 살아오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금 한국작가들이 한국동료들의 평가, 한국내부에서의 판매밖에 못 보는 것과 같다. 시야가 좁아져있다.
자 이와 비슷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보자. 유연한 사고전환을 해보자. 역사를 그대로 읽어내는 기록,보존,연구도 중요하지만 현대적으로 적용해보는 상상력도 동등하게 중요하다.
제조업으로 돈을 많이 번 베트남 재벌이 한국화가, 배첩장인과 도자기장인의 작품을 구매해서 콜렉션을 구매한다고 생각해보자
우리 한국 서예가들과 민화 화가들이 돈 많은 수퍼 아랍 재벌에게 투자받고 활동한다고 가정해보자
프랑스에서 자라 프랑스 전통 미술을 공부하고 프랑스 화단을 겨냥하여 작품활동을 했던 로뎅과 모네에게 일본인이 투자한다는 것은 그런 맥락이다
그럼 그런 상황이 오도록 차세대 작가들은 무엇을 준비해야할까?
예컨대 베트남의 남방 토질을 연구해서 분청사기로 만들어주면 좋겠다. 이이경이 주연한 영화 645가 베트남에서 흥행한 이유는 우리처럼 베트남도 남북 이념 갈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달항아리에 통합의 메시지를 넣어도 좋겠다. 한국화가는 한국 DMZ산수를 그리던대로 베트남의 산수를 그려주면 어떨까. 안 팔리던 천만원짜리 작품이 1억이 되어 분기별로 팔릴 수 있다.
또한 민화작가는 아라베스크 장식을 공부해서 한국화스타일로 해주면 좋겠다.
아랍예술에선 모하메드가 우상숭배를 금지했기 때문에 생명체를 본뜨는 아이돌을 그리지 않는다. 신이 아닌 인간이 생명체의 모습을 본따는 행위를 신성모독이라 여긴다. 그 결과 아라베스크 같은 식물이나 기하학적 무늬를 복잡하고 아름답게 발전시키거나 꾸란 구절을 아름답게 쓰는 캘리그라피가 최고의 예술로 여겨진다.
서예가들은 페르시아어에서 많이 보이는 나스탈리크 서체를 연구해 초서와 합쳐도 재밌는 것이 있을 것 같다. 한국에서는 50만원에 팔던 작품을 5억에도 팔 수 있을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