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도담서림(道談書林)
  • 이케아 사장을 납치한 하롤드 영감
  • 프로데 그뤼텐
  • 11,250원 (10%620)
  • 2017-04-12
  • : 58

제목만 보면 무슨 범죄소설 같다. 이케아 사장을 납치하다니. 읽어보니 내용을 알려주는 제목임은 확실한데, 원어로도 과연 그럴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찾아보니 노르웨이어로 saganatt라고 했단다. '전설적인 밤 또는 신화적인 밤'이라고 해석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


아마, 원어의 뜻에 맞게 번역을 했다면 별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했을 것이다. 제목을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붙였으니, 이것이 번역의 묘미인가 싶기도 하다.


하롤드 영감은 어느 날 길을 나선다. 이케아 사장인 잉바르 캄프라드를 납치하기 위해서다. 이유는? 이케아가 시장을 잠식해 자신의 가구 가게가 망했기 때문이다. 공존을 하지 못하고, 소상공인들을 잠식해가는 거대자본의 모습이 드러나는 순간이다.


그냥 그렇게 넘어갔으면 좋겠지만, 자신이 평생을 일궈온 가게가 망했으니, 그에 대한 복수를 하고 싶었으리라. 


노르웨이에서 스웨덴으로 넘어가는 길, 엄청나게 내리는 눈. 여정에서 만난 젊은 소녀 엡바. 엡바의 도움으로 성공적으로 납치하지만, 엡바가 더 말려들길 바라지 않아 엡바는 보낸다. 즉 자신의 일을 젊은이에게 넘길 수는 없는 일.


이케아 사장 역시 나이든 사람. 납치범이나 납치된 사람이나 '가구'를 판매한다는 점과 자식들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하지만 그들이 살아온 배경과 사업을 하는 방향은 정반대라 할 수 있다. 


그것이 하롤드 영감이 이케아 사장을 납치한 다음 그에게 하는 말에서 잘 드러난다.


"그게 바로 당신과 나의 차이점이오. 가구점을 하는 사람은 가구만 파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줄 수 있어야 하오." (194쪽)

"나는 세월이 가면 갈수록 아름다움이 더욱 깊어지는 가구를 팔았고, 당신은 세월이 지나면 허물어지고 망가지는 쓰레기 같은 가구를 팔아 왔소." (194쪽)


하롤드 영감은 단지 가구만 파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열정도 함께 팔았다. 가구는 그냥 물건이 아니라 사랑이었던 것. 삶이 함께하는 존재였던 것. 이웃과 자신을 이어주는 존재가 가구였고, 자신의 삶의 의미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삶의 의미를 이케아가 들어오면서 잃게 되었다. 단지 돈을 못 벌게 되었다는 문제가 아니다. 자신이 생명과도 같이 여겼던 가구들이 더 이상 사람들에게 다가가지 못하게 된 현실을 견디지 못하게 된 것이다.


사회에서 낙오된 듯한 느낌. 그러한 느낌을 40여 년을 함께 살아온 아내 마르니가 기억을 잃어가는 것에서 더욱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아내는 기억을 잃어가고 자신을 가게를 처분하고, 이제는 더 어떻게 할 수 없는 상태. 이때 이케아 사장을 납치하기로 한다. 


여기까지 오는 과정이 그렇게 무겁게 서술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아주 가볍지도 않다. 물론 하롤드 영감이 이케아 사장을 납치하는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경찰들과 납치 후에 자신이 한 일을 알리지만 그것을 무시하는 다른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서 소설은 무겁게 진행되기보다는 경쾌하게 진행이 된다. 납치 후의 일은 범죄 소설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전개가 된다. 


경쾌한 진행과 반대로 내용은 점점 더 무거워진다. 하롤드 영감이 할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납치가 성공하고 경찰들과 대치하면서도 병원에 있는 아내와 통화를 하는 모습. 잠시나마 기억이 돌아온 아내의 모습을 통해, 그 밤이 하롤드 영감에게는 신화적이고 전설적인 밤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어찌보면 이런 경쾌한 진행을 통해서 무거운 내용을 전달하고 있는 작가는, 우리들의 삶을 잠식하는 거대자본을 비판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희망을 잃어서는 안 된다고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소설의 끝부분에 '내일은 월요일'(205쪽)이라는 말이 나온다. 


그렇다. 오늘까지는 이랬을지 모르지만 내일은 다른 일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 결코 희망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는 것. 어쩌면 하롤드 영감과 그의 아내 마르디를 통해서 이 말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 우리에게는 내일이 있다. 아직 오지 않은 내일. 그것은 희망이다. 비록 지금이 힘들고 괴롭더라도 밤이 지나면 내일이 올 테니까.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