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도담서림(道談書林)
  • 랭스로 되돌아가다
  • 디디에 에리봉
  • 16,200원 (10%900)
  • 2021-01-11
  • : 7,346

자수성가(自手成家)라는 말이 있다. 긍정으로 쓰는 말이다. '개천에서 용난다'와 같은 말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 '개천'이라는 말에는 부정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좋지 않은 환경이라고. '용'은 그러한 환경을 극복하고 성공한 존재라는 의미로 쓰이고.


자수성가 역시 마찬가지다. 어려움을 딛고 성공한 사람을 말한다. 과거와는 단절된 현재의 모습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과거는 극복해야 할 무엇이지 자신을 이루고 있는 한 요소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좋지 않은 것, 떨쳐버려야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자신이 지나온 과거다. 


하여 자수성가한 사람은 여전히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사람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한심한 사람이라고 무시를 한다. 개천을 빠져나온 용이 다시는 개천으로 돌아가지 않듯이, 자수성가한 사람 역시 자신이 자란 환경에 돌아가려 하지 않는다. 그곳은 지워버려야 할 곳이고,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이제 자신의 삶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사람이다. 자신에게는 이곳의 사람들, 그리고 미래의 사람들이 있을 뿐이다. 


이렇게 생각한다.


과연 그런가? 자수성가란 말과 개천에서 용난다라는 말에는 이상하게도 '능력주의'가 숨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노력으로 그곳을 벗어났다는, 그러니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노력을 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자신이 그곳을 벗어난 것이 순전히 자신의 노력이나 능력 때문일까? 노력이나 능력도 있었겠지만 우연이나 또는 다른 사람과는 다른 환경이 작동했을 수도 있다. 그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자신은 그곳을 벗어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즉, 온전히 자신의 노력과 능력만으로 그곳을 벗어났다는 환상을 버려야 한다. 그러한 환상을 지니고 있으면 그곳에 있는 사람들을 무시하게 된다. 자신과는 다른 무능력한 사람들, 노력하지 않는 사람들. 경멸받아 마땅한 사람들.


아니다. 그렇지 않다. 그들 역시 노력을 한다. 능력을 발휘하려 한다. 한데 어떠한 조건이 그것을 가로막고 있을 뿐이다. 우연히 그들은 자신들의 조건 속에 갇혀 그것을 벗어나지 못했을 뿐이다. 그렇다면 그들이 그곳을 벗어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개인에게만 책임을 물어서는 안 된다.


디디에 에리봉이 쓴 [랭스로 되돌아가다]는 이 점을 생각하게 해준다. 노동계급의 자식으로 태어나 그곳을 벗어난 그는 랭스에 살고 있는 부모님을 무시하고 있었다. 자신의 처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구시대에 갇혀 지낸 존재라고, 교류도 하지 않는다. 형제들과도 마찬가지다. 자신은 잘났으니까. 노력을 해서 벗어났으니까. 


그러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어머니와 함께 본 사진들을 통해 다른 것을 깨닫는다. 자신이 그렇게 무시했던 그들의 삶이 무시당할 삶은 아니었음을. 그들 역시 그런 조건에서 최선을 다했음을. 그것이 랭스로 되돌아간 그가 깨달은 것이다.


자수성가한 사람은 뒤돌아보는 경우가 드문데, 그는 뒤돌아본다. 그리고 생각한다. 무엇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을까? 성소수자이자 노동계급 출신인 그는 성소수자에 대한 글을 쓰고, 성소수자에 차별에 맞선다. 성소수자들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을 거의 하지 않는다. 그들을 이해한다. 그들이 편견과 모욕에 갇혀 살고 있음을, 그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도 그러한 환경 속에서 제약을 받고 있음을 이해한다.


성소수자에 대한 이해는 되는데 노동계급에 대해서는? 그것도 가장 가까운 노동계급인 가족들에 대해서는? 그는 여기에 대해서 생각한다.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하나가 아님을. 노동계급 출신의 사람들이 계속 어렵게 살아가고, 좁은 시야에 갇혀 있는 것도, 그들이 어쩌다 극우세력에 투표를 하는 것도 그 나름의 이유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극우세력에 투표를 한다고 비판만 하는 것이 잘못되었음을 깨닫는다.


그렇게 그는 단지 개인을 비판하는 것을 넘어서야 함을 자신의 삶을 통해서 배우게 된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랭스를 되돌아보면서 그는 자신의 삶에는 커다란 조건이 두 개 있었음을, 하나는 노동계급 출신이라는 것과 또다른 하나는 성소수자라는 것을.


성소수자로서의 삶, 그와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은 이해하면서 노동계급을 이해하려는 자세는 지니지 않았음을 깨달으면서, 이제 그는 과거와는 다른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자수성가한 사람이 자신이 그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렇게 되지 못한 사람들까지도 살피는 관점을 지니게 되는 것, 개천에서 난 용이 하늘에만 머물지 않고 다시 개천에 가서 개천을 살피는 일을 하게 되는 것, 이것이 [랭스로 되돌아가다]가 보여주는 모습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 '능력주의'가 얼마나 허구적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성공한 디디에 에리봉을 통해서. 몇몇 성공한 사람들을 예로 들면서 다수의 사람들을 비판하는 관점을 버려야 함을. 그들을 틀 지우고 있는 환경을 파악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해야 함을 저자는 자신의 삶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