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오드리 로드의 책을 몇 권 읽었다. 상당히 공감이 가는 내용이 많았다.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낸 시를 쓰기도 했다고 했는데, 마침 시집이 번역이 되었으니 읽어봐야지.
흑인으로서, 여성으로서, 성소수자로서 겪은 일들이 시에 잘 드러나 있다. 물론 번역이 된 시라서 영어로 어떤 표현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오드리 로드가 무엇을 표현하려 했는지는 어렴풋이 느낄 수가 있다.
유니콘 하면 뿔 달린 말이다. 주로 하얀 식의 말을 떠올린다. 왜일까? 그만큼 백인 신화에 갇혀 있었던 것은 아닐까? 세상을 주무르던 그들이 만들어낸 이미지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유니콘 하면 하얀 색의 말을 떠올리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하진 백인들은 처음에 흑인이나 인디오들이 인간인지 아닌지 가지고도 자기들끼리 논쟁을 했다고 하니, 그것도 모자라 자연사박물관에 그런 사람들을 전시까지 했다고 하니, 그들로부터 파생된 다양한 이야기, 신화들이 지금도 사람들 무의식에 박혀 있는지도 모른다.
이런 고정관념에 틈을 낸 사람이 오드리 로드다. 유니콘을 검은색으로 표현했다. 그렇다. 왜 상상 속 동물인 유니콘이 꼭 하얀색이어야 할까? 유니콘 역시 다양한 색깔을 지닌 말로 상상해야 하지 않을까.
하나가 아니라 다양하게 상상할 수 있는 것, 그리고 그러한 다양성이 인정받는 세상, 이것이 바로 오드리 로드가 꿈꾸었던 세상 아닌가 한다.
'초상'(90쪽)이란 시에서 오드리 로드는 이렇게 말한다.
'강인한 여성들은 / 자신의 증오가 / 어떤 맛인지 안다 / 나는 언제까지나 / 바람 부는 곳에 / 둥지를 지어야 하겠지' ('초상' 중에서)
피해가지 않는다. 정면으로 맞서려 한다. 그것도 자신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함께. 그렇게 나아가려는 오드리 로드의 모습을 이 시집에서 만날 수 있다.
'여성이 말한다'(24-25쪽)에서는 '나는 여성이었다 / 아주 오래전부터 / 내 미소를 조심하라 / 나는 오래된 마법과 / 정오의 새로운 분노 / 당신에게 약속된 / 드넓은 미래를 품은 위험한 존재 / 나는 / 여성이고 / 백인이 아니다.'('여성이 말한다/ 중에서)라고 하면서 자신이 여성임을 백인이 아님을 당당하게 선언하고 있다.
그러한 존재가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더라도 그것이 오드리 로드가 나아갈 길이다. 그래서 이 시집의 1부에서는 흑인 신화에서 언급되는 여신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백인의 세계에,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는 그리스-로마 신화에 갇혀 있지 않고, 아프리카에서 전승되어온 신화들을 우리에게 들려준다. 그 신화를 신화로만 삼지 않고 바로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로 나오게 하고 있다.
당당하게 다름을 인정하고 살아가려는 존재, 그러한 존재의 모습을 이 시집에서 만날 수 있다.
덧글
한 가지 바로잡을 것이 있다. 93쪽에 실린 시 '앨빈 형제'(93쪽)에서 '우린 함께 브라우니에서 나올 수 있었어'라는 구절이 있다. 그리고 번역자 주에 브라우니(Brownies) : 초콜릿 케이크, 7-10세 또는 11세까지의 어린 아이들로 구성된 스카우트단 이라고 되어 있는데... 사전적 의미로는 맞는 말이다.
하지만 오드리 로드의 자서전 격이라고 할 수 있는 [자미]를 읽어보면, 52-56쪽 정도에 앨빈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즉 이 시에서 말하는 브라우니는 학급에서 우수 모둠에 들어가지 못하는 아이들이 속한 모둠을 말하는 것이다.
오드리 로드는 앨빈이 숫자를 읽을 수 있는 덕분에, 자신이 글을 읽는다는 능력과 합심하여 둘이 브라우니 모둠에서 페어리 모둠으로 옮겨가게 된 이야기를 이 부분에서 하고 있다. 그러니 스카우트 단이 아니라 학생들을 수준별로 구성했던 모둠, 그것도 보통 또는 열등하다고 인정한 아이들이 속한 모둠이 '브라우니'다. 이렇게 주를 달아주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