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고양이책방
















 1. 내재가치 대비 할인 폭이 클수록 위험은 줄어든다.

 2. 내재가치 대비 할인 폭이 클수록 수익은 커진다. -p157


 주가가 하락하면 사람들은 공포에 빠집니다. 투자자는 반대로 사고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주가가 하락하면 위험은 줄어들고 수익은 커집니다. 투자에 나서야 할 때입니다.



 실제로 1873년 버핏이 <워싱턴 포스트> 지분을 대량으로 사들일 당시, 지분 대부분을 매수한 뒤 주가가 반토막이 났다. 최근에는 버핏이 지분을 취득한 뒤 유에스지 주가가 18달러에서 4달러 미만으로 75퍼센트 넘게 급락했다. USG 주가는 나중에 120달러 이상으로 뛰었다. -p210  


 버핏이 산 기업의 주가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옥시텐탈, 크래프트 하인즈가 그렇습니다. 그래도 버핏을 믿고 저도 계속 사모으고 기다려야겠습니다.



 1963년부터 (구글과 같은) 고PER 종목에 꾸준히 1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었다면 1990년에는 투자금이 7만 2,000달러로 불어났을 것이다. 나쁘지 않다. 그러나 같은 금액을 저평가된 종목들에 투자했다면 투자금은 1990년에 91만 5,000달러로 불었을 것이다. -p210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주식보다 소외된 주식들이 높은 수익률을 줄 수 있습니다.



1. 잘 아는 기업인가? 자신의 '역량의 범위' 안에 있는 기업인가?

2. 기업의 현재 내재가치를 알고 있으며, 몇 년 뒤 어떻게 달라질지 높은 신뢰도로 예측할 수 있는가?

3. 현재 및 2-3년 뒤 내재가치 대비 크게 할인되어 거래되는가? 할인 폭은 50퍼센트 이상인가?

4. 순자산의 상당 부분을 이 기업에 기꺼이 투자할 의지가 있는가?

5. 손실위험은 미미한 수준인가?

6. 해자를 갖춘 기업인가?

7. 경영진은 유능하며 정직한가? -p218

 

  투자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7가지 요소입니다. 위 질문에 모두 '그렇다.'라고 대답할 수 있을 때만 매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매수 2-3년 만에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주식을 매도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는 다음 2가지 조건이 모두 성립할 때다. 


1. 현재 내재가치와 2-3년 뒤 내재가치를 높은 신뢰 수준으로 추정할 수 있다.

2. 제시된 가격이 현재 또는 미래 내재가치보다 높다. -p223


 '3년의 법칙'을 활용하면 내재가치를 단순히 잘못 인식한 경우에도 해당 포지션을 정리할 수 있다. -p225


 손실을 일으키는 자산이 스스로 회복하도록 인내심을 발휘할 기간은 2-3년이면 충분하다는 것이 나의 결론이다. -p226


 시장은 일반적으로 저평가된 자산은 가격이 상승합니다. 불확실성도 2-3년이 지나면 해결됩니다. 기다림에도 비용이 듭니다.   




 













 조엘 그린블라트의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은 저자 모니시 파브라이가 최고의 가치투자서 가운데 하나로 꼽는다. 읽어봐야겠다. 조엘 그린블라트의 <주식시장을 이기는 큰 비밀>도 있다. 기쁘게도 둘 다 도서관에 있다!



 확률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면 "소수 종목에, 큰 규모로, 가끔씩만 집중 투자하라." 이것은 늘 기억해야 할 주문이다. -p239 



 


 













 데이비드 스웬슨의 <이례적인 성공: 개인투자에 대한 근본적 접근>은 번역되지 않았다. 그의 다른 책 <포트폴리오 성공 운용>은 있다.


 
















 저자는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를 추천한다. 삶에 관한 통찰이 담긴 책이다. 



 모니시 파브라이의 책을 즐겁게 읽었다. 단도투자, 켈리공식 등 유용한 핵심지식이 있었다. 유튜브에서 종종 그를 만나봐야겠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