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듄 2>를 보고 소설 <듄>을 보고 싶었다. <듄 2>까지는 재밌게 읽었던 거 같다. <듄 3>까지 읽다가 말았다.
"통계를 말하자면, 나는 적게 잡아 610억 명을 죽이고, 90개 행성을 불모지로 만들고, 500개 행성을 완전히 굴복시켰소. 그리고 40개 중교의 추종자들을 쓸어버리고....." -p157
폴은 이런 미래를 두려워하고 괴로워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런 현실을 받아들였다. 그는 정말 막을 수 없었을까? 책을 읽으면서 계속 그런 생각이 들었다. 막을 수 없다고 한다해도 그의 선택이 정당화 될 수 있을까?
알리아는 프레멘들의 얼굴을 훑어보며 그들의 원래 모습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내려고 애썼다. 그러나 현재가 과거를 감춰버렸다. 그들은 모두 쾌락주의자가 되어 있었다. -p285
프레멘은 과거에 금욕주의자였다. 환경이 바뀌면 사람들도 바뀌는 것은 당연한 것일까?
다시 그가 휘청거렸다. '챠니. 챠니. 다른 방법이 없었소. 챠니, 내 사랑, 이 죽음이 당신에게 더 빠르고...... 더 편안한 것이었음을 믿어줘요. 그들은 우리 아이들을 인질로 잡고 당신을 우리에 가둬 노예굴에 넣어두고 전시했을 거요. 그리고 나의 죽음이 당신 탓이라며 당신을 헐뜯었을거야. 이 방법으로...... 이 방법으로 우리는 그들을 파멸시키고 우리 아이들을 구할 수 있는 거요.' -p348
미래를 본다는 것, 다양한 미래를 보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한다는 것. 정해진 미래를 바꿀 수 없다는 것. 최악이 아닌 차악을 선택해야한다는 것. 폴이 참 불쌍하다. 그런데 어쩌면 우리의 인생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예를들면 두 후보자 중에 차악에 투표해야 한다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