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① 1689년 이후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를 둘러싸고 라이프치히 소란이 일어났는데, 이를 통해 ‘경건주의자’, ‘경건주의’, 그리고 처음에 자주 사용된 ‘경건한 체하는 무리’(Pietisterey)라는 표현이 곧바로 독일 전역에 퍼져나가 일반적인 유행어가 되었다.(38쪽)
→ 1689년 이후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를 둘러싸고 라이프치히 소란이 일어났는데, 이를 통해 ‘경건주의자’, ‘경건주의’, 그리고 처음에 자주 사용된 ‘경건 짓거리’(Pietisterey)라는 표현이 곧바로 독일 전역에 퍼져나가 일반적인 유행어가 되었다.
독일어 원문: Während der Leipziger Unruhen um August Hermann Francke wurden seit 1689 die Worte „Pietisten“, „Pietismus“ und das anfangs häufig gebrauchte „Pietisterey“ zu gängigen, bald in ganz Deutschland in Umlauf kommenden Schlagworten.
② 1694년 쿨피스가 초안을 작성한 ‘경건주의에 관하여’(Über die Pietisterey)라는 칙령(308쪽)
→ 1694년 쿨피스가 초안을 작성한 ‘경건 짓거리에 관하여’(Über die Pietisterey)라는 칙령
독일어 원문: Ein von Kulpis entworfenes Edikt „Über die Pietisterey“ von 1694 [...].
③ 모든 분리주의적 모임을 엄격히 금지한 1706년 8월 12일 자 칙령은 “때때로 나라 안팎으로 몰려드는 소위 경건주의에 반대”하며 다시 한번 날카로운 경고를 보냈다.(312쪽)
→ 모든 분리주의적 모임을 엄격히 금지한 1706년 8월 12일 자 칙령은 “때때로 나라 안팎으로 몰려드는 소위 경건 짓거리에 반대”하며 다시 한번 날카로운 경고를 보냈다.
독일어 원문: Wieder schärferen Ton schlug an das Edikt vom 12.8.1706 „gegen die hin und wieder in und außer Landes umschwärmende sogenannte Pietisterey“, das alle separatistischen Konventikel strikt verbot.
• 번역을 바로잡았다.
• 주의할 것: 독일어 후철 ‘–erei’에는 경멸, 조소의 뜻이 담겨 있음.
https://www.dwds.de/wb/-erei
• 아래, 글을 볼 것:
In Württemberg reagierten Kirche und Staat zunächst 1694 mit einem so genannten Pietistenedikt auf die „Pietisterey“, wie die neue Frömmigkeitsbewegung despektierlich genannt wurde.
https://www.wkgo.de/epochen/absolutismus-pietismus-und-aufklr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