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아버지가 남긴 책장을 우연히 펼쳐보다가, 그 속에서 머리카락 한 올을 발견했다는 독자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분은 그것이 아버지의 머리카락일 거로 생각했고, 순간 울음이 터졌다고 했다.
그 사연을 들은 뒤, 생각이 많아졌다. 나에게도 아버지가 남기신 책들이 있다. 몇 번이고 책장을 넘기며 혹시라도 메모나 밑줄, 접힌 귀퉁이 같은 흔적이 남아 있지 않을까 살펴봤다. 그런 자취 하나라도 발견되면, 잠시나마 아버지를 잠시나마 뵙는 느낌일 것 같았다.
하지만 아무것도 찾을 수 없었다. 아버지도 나처럼 책과 정신적 사랑을 나누는 분이어서 책에 그 어떠한 흔적도 남기지 않으셨다. 그 아쉬움이 자꾸 마음에 남았다.
나는 책을 많이 읽었다. 하지만 나 역시 책 속에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언젠가 내가 세상을 떠난 뒤, 누군가 내 서재를 마주하게 된다면, 그 책들 속에서 내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조금이라도 전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게 『이런 고민, 이런 책』을 쓰게 된 계기였다. 적어도 내 딸은 내가 느낌 감상을 알았으면 좋겠다 싶었다. 벌써 제 부모 없는 세상을 무서워하는 딸에게 작은 흔적이라도 남겨두면 좋겠다 싶었다.
한때는 희귀본 수집에 푹 빠져 있던 시절이 있었다. 초판본이나 서명본 같은 책들을 모으는 즐거움에 빠져 지냈다. 그중에 박완서 선생님의 오래된 소설책 한 권이 있다. 십수 년 전, 중고 서점에서 낡은 책을 하나 샀는데, 안쪽에 작게 자필 서명이 적혀 있었다. 가격은 3만 원쯤이었을 것이다.
얼마 전, 문득 그 책이 생각나 검색을 해봤다. 박완서 선생은 원래 서명을 잘 하지 않으셨다는 이야기를 들은 뒤였다. 실제로 한 권이 올라와 있었고, 가격은 80만 원이었다. 꽤 놀랐다. 그런 책이 아무도 모르게 폐지 무게 값으로 넘어가는 건 억울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처음에는‘이 책은 비싼 책이니 그냥 넘기지 말라’는 의미로나마 글을 남기고 싶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생각이 조금씩 바뀌었다. 책의 가치는 결국 가격이 아니라, 그 책이 내게 어떤 시간과 마음을 남겼는지에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나와 각별한 추억이 있고, 나를 위로해 주었고, 내 삶을 돌아보게 했고, 앞으로 살아가는 방향을 조용히 짚어주었던 책들. 그런 책들이 더 오래 남아야 한다고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이런 고민, 이런 책』에는 비싸고 귀한 책보다는 그런 책들을 담았다. 비싼 책이 아니라, 아직도 어른이 되기에 서툰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책들. 나 역시 그런 시기를 지나며, 책 속에서 길을 찾고 싶었던 사람 중 하나였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