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를 하나 하나 먹어가면서 조금씩 조금씩 멀어져 간 게 있다. 음악이다. 몇 시간의 장거리 이동에도 피곤을 모르던 청춘 시절엔 내내 이어폰이 귀에 꽂혀 있었다. 테이프 플레이어에서 CD플레이어, MP3 플레이어로 까지 기기는 변해갔지만, 이어폰은 여전히 귀에 음악을 선물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귀에는 아무 것도 꽂혀 있지 않게 됐다. 일상 속에서 항상 흐르던 음악이 사라졌다.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다. 음악 없이도 삶은 궁핍하지 않았다. TV로 즐겨보던 음악 프로그램을 마주쳐도 채널을 돌렸다. 가끔 오디션 음악 프로그램을 지켜보는 정도다. 굳이 음악을 찾아 듣지는 않았다. 드라마나 영화 속에 나오는 음악에 어쩌다 취하기는 한다. 하지만 음악을 일부러 찾아 듣겠다고 시간을 내지는 않는다.

유튜브를 서칭하다 문득 오랜만에 노래가 듣고 싶어졌다. 이리저리 둘러보다 선택한 것은 영화 <스타 이즈 본> OST 중 하나인 <Always Remember Us This Way> 였다. 혼자만의 느낌이겠지만, 이 노래를 듣고 있으면 무엇인가 강렬한 게 쏟아져 나오지만 그것을 온전히 다 쏟아내는 게 아니라 조금은 억제되어지고 있다는 기분이 든다. 마치 꾸억꾸억 한을 가슴 속에 구겨 담았다가 마침내 폭발하듯이. 하지만 완전히 폭발하지 못하는 그 마음 같은 노래였다.
두세 번 반복해 듣다가 영화 <스타 이즈 본>을 찾아 넷플릭스로 들어갔다. 2018년 개봉된 영화이지만, 노래가 좋다는 소문이 주위를 떠돌았지만, 보지 않았던 혹은 못했던 영화다. 시간이 흘러 OST가 영화로 이끈 셈이다.
<스타 이즈 본>은 못생긴 외모 탓(본인 스스로 그렇게 생각한다)에 대중 앞에서 노래를 부르지 못하는 앨리가 스타 가수인 잭슨을 우연히 만나면서 큰 무대에서 가수 데뷔를 하고, 일류 프로듀서 레즈를 만나 앨범을 내고, 그래미상까지 움켜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화는 이 줄거리와 함께 잭슨과 앨리의 사랑을 담는다. 잭슨은 알코올 중독의 할아버지 나이 뻘 되는 아버지와 단 둘이서 자랐다. 이 환경이 그를 알코올 중독으로 내몰았고, 끝내 이겨내지를 못한다. 앨리의 첫 모습에 반했던 그는 앨리가 레즈를 만나 대중가수로 변해가는 모습도 참아내지 못한다. 잭슨의 앨리에 대한 사랑은 어떻게 끝을 맺을까.
영화 <스타 이즈 본>의 매력은 단연코 음악이다. 여기에 더해 잭슨의 입장에서, 그리고 앨리의 입장에서 영화를 보는 색다른 재미도 있다. 과거에 사로잡혀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잭슨과, 과거를 떨치고 앞으로 씩씩하게 걸어가는 앨리를 바라보며 갖가지 감정이 솟구친다. 영화의 마지막 I'll Never Love Again 이 불려지는 부분은 이 솟구친 감정이 바로 사랑이었음을 실감케 한다.
덧붙여 개인적으로 <스타 이즈 본>의 여자 주인공이자 가수인 레이디 가가의 노래에 흠뻑 빠질 수밖에 없었다. 초창기 레이디 가가는 댄스팝과 일레트로닉을 주로 불렀고, 이를 통해 인기를 얻었다. 이 장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기에 레이디 가가의 노래를 들으리라고는 생각지도 않았다. 하지만 레이디 가가는 이후 음악 스펙트럼을 넓혀 재즈, 컨트리, 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들려주었다. <스타 이즈 본>에서 들려주는 컨트리 풍의 소프트 록은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장르이기에 귀를 열지 않을 수 없었다. 영화가 끝나고 레이디 가가의 노래를 찾아 듣는다. 100%가 아닌 97~98%의 폭발과 2,3%의 제어가 마음 속 깊이 묻어둔 감정을 끄집어 내는 것처럼 들려지는 레이디 가가의 목소리가 한동안 귓가에 맴돌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