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복이 이야기 1
공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1년 7월
평점 :

지금 한국에서 고양이와 함께 사는 사람은 어느 정도나 될까. 꽤 많겠지.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싫어하고 괴롭히는 사람도 있다. 누군가는 고양이 먹이를 가지고 다니면서 길고양이한테 주기도 한다. 그런 모습 보고 고양이한테 먹을 거 주지 마라 하는 사람도 있겠다. 길고양이 숫자도 많은 듯하다. 늘 잘 보이는 건 아니지만, 어딘가에 숨어 있다 배가 고프면 먹을 걸 찾으러 나오겠다.
조선 시대에는 고양이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조선 시대에도 고양이 좋아한 사람 있을 거다. 화가에도 있었던 것 같은데. 그렇다 해도 고양이를 방에서 기르지는 않았을 것 같다. 잠깐 방에 둔 적은 있겠지만. 옛날에 고양이는 더 살기 어려웠겠다. 지금이라고 쉽지는 않겠다. 집고양이보다 길고양이 수명은 짧다. 먹을 게 없는 것보다 다른 것 때문에 죽을 것 같다. 고양이한테 안 좋은 음식을 먹어설까. 사람한테 괴롭힘 당하지 않으면 좋을 텐데. 가끔 인터넷 기사에서 고양이 학대한 사람 이야기 보기도 했다. 그렇게 알려지는 것보다 알려지지 않는 게 더 많을지도.
언제부터 검은 고양이를 안 좋게 여겼을까. 조선 시대에도 그랬나 보다. <금복이 이야기 1>은 조선 시대 이야기다. 누군가(사람은 아닌 것 같은데) 검은 고양이를 가엾게 여기고 어떤 힘을 준다. 그건 낮에는 고양이고 밤에는 사람이 되는 건가. 아이들한테 쫓기고 괴롭힘 당하려는 고양이를 의균이 데려다 기르기로 한다. 그것도 방에서. 검은 고양이 이름을 금복이라 했다. 금복이는 처음엔 의균을 피했는데 여러 날 지나고 밥도 잘 먹고 의균을 따른다. 금복이는 밤엔 어린아이가 된다. 사람이 된다고 뭐가 좋을까. 금복이가 밤에 사람이 되어도 아직 별 일 일어나지 않았다.
낮엔 고양이가 잠을 잔다. 새끼 고양이니 잠 많이 자겠지. 의균은 잠든 금복이를 귀엽게 여기고 방석을 사다주고 놀이개로 놀아주다 놀이개가 망가지기도 한다. 의균 시중을 드는 동이는 금복이한테 조금 질투한 것 같기도 하다. 의균이 금복이를 예뻐해서 말이다. 털도 많이 빠지는데. 동이는 금복이를 밖에서 기르라 하기도. 의균은 금복이와 동이는 식구다 말한다. 동이는 그 말이 좋았던가 보다. 금복이도 동이를 싫어하지 않았다. 고양이는 상자에 들어가는 거 좋아하지 않나. 금복이는 됫박 안에 들어가기도 했다. 그게 좀 컸다면 좋았을걸. 밤이 되고 금복이가 사람이 되자 됫박이 부서졌다. 의균은 왜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한다. 동이는 됫박을 잘 붙여서 금복이한테 갖다준다. 동이는 금복이 형인가.
의균은 몸이 별로 좋지 않은가 보다. 금복이와 살게 되고 얼굴이 좀 나아졌다. 아버지가 금복이를 알게 된다. 의균은 아버지한테 금복이와 함께 살고 싶다고 말한다. 아버지는 금복이를 안 좋게 여기지 않았다. 다행이구나. 어머니는 어떨지. 금복이가 사람이 돼서 괜찮았던 건 밖에 나갔다가 길을 잃었는데, 밤이 오고 사람이 되고는 집으로 잘 왔다. 의균이 누군가를 만나러 나간 사이에 어머니가 나타났다. 금복이는 어떻게 되려나. 쫓겨나지 않기를.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