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의 기독교회는 단순한 종교 기관을 넘어

실질적인 사회 개혁의 선두에 서 있었다.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한 가지 사건이 있다.

약 3세기에 로마에서 해방 노에 출신인 칼리스투스가

로마 감독, 즉 교황으로 선출된 것이다.

어느 정도 진정성 있는 행위였는가는 별개로 치더라도,

교회가 지닌 개방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임은 틀림없다.

- 최종원, 『초대교회사 다시 읽기』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각종 속독법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허우적거리지 않기 위해

열심히 물장구를 치고자 하는 몸부림이다.

물의 흐름이 빠르면 손과 발을 더 빠르게 움직여서 헤엄치면 된다.

힘으로 해결하는 이 기술은 그다지 권할 만하지는 않다.


- 가마타 히로키, 『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상에서 만난 신앙 - 하나님이 정말 존재한다면 만나기 원하는 이들에게
이호수 지음 / 토기장이(토기장이주니어)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BM(연구원)과 삼성전자(부사장), SK텔레콤(사장) 같은 IT업계에서 오랫동안 일해 온 작가가 살아오면서 듣고 겪은 여러 일들을 기독교 신앙적인 시각으로 풀어놓는 에세이집이다. 확실히 여러 인력과 사업들을 관리하는 위치에서 오래 일해 본 사람들이 갖출 수 있는 넓은 시야가 곳곳에 묻어 나온다.


사회 경력뿐만 아니라 교회에 속해 신앙생활을 해 온 기간도 적지 않았으니, 자연히 교회 내 행정이라든지 여러 운영 방식에 관한 경험도 많았으리라. 이 부분이 잘 드러나는 내용 중 하나가 각 교인들의 영적 상태에 관한 세밀한 기록과 여기에 근거한 보다 밀착된 영적 케어의 필요성을 말하는 부분이다.


물론 요새는 개인정보 보호가 워낙에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어서 이런 기록들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염려도 되긴 하지만, 일반 기업에서는 너무나 당연하게 여기는 많은 장치와 도구들이 교회 안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은 퍽 동의가 되는 부분이다. 최근에 여러 경영학 이론에 관한 강의를 들으면서, 그 중 적지 않은 부분들이 교회의 운영에도 유익할 것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 교회의 운영이 지나치게 주먹구구식으로 되고 있다는 느낌은 이런 작가의 눈에는 더욱 잘 들어왔으리라.





책 전반에 걸쳐서 저자가 어떻게 진득하고 착실하게 신앙생활을 해 왔는지가 잘 드러난다. 고난을 광야로 풀어내고, 예수쟁이들이 세상에서 겪는 외로움에 관한 경험이 있는 건, 신앙생활을 제대로 해 온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들이다.


전반적으로 난해한 문장이나 내용이 담겨 있지는 않아서, 편하게 읽어나갈 수 있다. 에세이 류가 대개 그런 느낌이긴 하다.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세상을 이렇게 바라보기도 하는구나 하는 점을 잘 보여주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째서 한 인간이 다른 누군가를

조금이든 많이든 필요로 한다고 드러내는 순간에

상대는 멀어지는가?


시몬 베유, 『중력과 은총』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