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말 한 짝이 남았다. 사실 양말 값은 얼마 안 된다. 짝 잃은 양말 한 짝을 내버리고 새 양말 한 켤레를 가게에 가 돈 주고 사면 된다.
문제는 새로 산다 하여 해결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달아난 다른 양말 한 짝이 일으킬지 모를 사건이 문제인 거다.
남은 양말 한 짝은, 아내가 빨래거리들을 세탁기로 돌린 뒤 말리려고 건조대에 하나하나 너는데 등장했다. 다른 양말들은 다 짝을 지었는데 오직 그 양말만 한 짝뿐이라니 갑자기 근심이 생겼다. 세탁기 안을 살피고 세탁기가 놓인 다용도실을 살피고…… 심지어는 ‘혹시 처음부터, 그 양말의 다른 한 짝을 방구석에 방치한 채 세탁기를 돌린 게 아닌가?’싶어 방마다 뒤지기까지 했으나 영 찾을 수가 없었다.
하잘 것 없는 양말 한 짝의 실종에 근심을 떨치지 못하는 까닭이 있다. 혹시 그 양말의 다른 한 짝이 물 빠지는 좁은 관 어느 곳에 걸려 있는 게 아닌가 하는 불길함 때문이다. 그런 관이 뭐에 걸려 막히면 해결이 쉽지 않다. 왜냐면 관이 아주 좁은 데다가, 똑바로만 나가는 게 아니라 가끔씩 휘기도 하기 때문이다. 언젠가도 관이 막혔었다. 파리채니 긴 나뭇가지니 하는 것들로 관을 막은 ‘무엇’을 끄집어내려고 무진 애를 쓰다가, 결국은 기술자를 불러 돈 주고 해결했다. 그는 긴 쇠줄 같은 거로 관 속을 쑤셔 보다가 여의치 않자 독한 황산을 갖다가 부음으로써 그 무엇을 아예 녹여 버렸다. 그 무엇은 정체도 드러내 보이지 않고 저 세상(?)으로 가 버린 것이다.
어쨌든 그 날 관이 뚫렸기 망정이지 만일 실패했다면 다용도실 바닥을 뜯는 대 공사를 각오해야 했다.
현재 남은 양말 한 짝을 거실 한 구석에 따로 보관해 놓았다. 아직은 관이 막히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봐, 관이 아닌 다른 곳에 그 짝이 방치됐을 거라는 희망이 생겼다. 시간이 나면 가구들도 옮겨 그 자리도 살피고 방마다 다시 뒤져볼 생각이다.
살다보면 피할 수 없는 자질구레한 일들이 적지 않다. 세탁 후 덩그러니 남은 양말 한 짝, 그 자질구레한 일들의 상징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