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인께서 외롭다고 느끼시지 않는것이겠지요."
"몬테로 씨, 사람들은 자신이 외롭길 원하지요. 신성함에 다다르기 위해 고독이 필요하다면서 말이지요. 고독 속에 있을 때유혹이 가장 강력하다는 것을 모르면서 하는 말이에요."
"부인, 무슨 말씀이신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아, 차라리 그게 더 나아요. 하던 일이나 계속하세요." - P39
정도 크게 보이게 한다고 말한다. 마르케스와 내가 아는 진짜 미스터리는 우리가 그 거울로 바라보는 환영 속에서 항상 다른 시간, 지나간 시간 혹은 아직 오지 않은 시간을 느낀다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행운이 따라 준다면, 당신은 다른 사람이 되어 은빛 호수를 떠다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는 파리의 거울들이 그들 자신의 환상을 넘어 다른 무언가를 내포한다고 믿는다. 동시에 그것들은 도시의 불빛처럼 만질 수 없는 무언가에 대한 반영이다. 그 빛은 내가 여러 차례 묘사하고자 했던 것이다. 1968년 5월과 1981년 5월에 대한 정치적연대기에서와 『머나먼 관계들』 같은 소설에서 묘사한 파리의 빛은 동일한데, "매일 오후의 기대………… 신비한 한순간을 위해, 비가 오거나 안개가 끼거나, 뜨겁게 덥거나 눈이 올 때와 상관없이, 장 밥티스트 카미유 코로의 그림 속 풍경처럼, 일드프랑스지역* 본연의 빛처럼 한낮의 현상은 흩어지고 또한 나타난다." - P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