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유의 캔버스
김영호 지음 / 군자출판사(교재) / 2025년 6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의학과 예술의 만남, 예술 작품 속 의학적 요소의 분석이라는 흥미로운 컨셉의 『치유의 캔버스』는 책 내용 때문인지 저자가 서울대 의대 교수이다.
간혹 그림 속에 숨겨진 다양한 이야기를 분석하는 책들을 볼 수 있는데 단순히 명화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속에 담긴, 화학, 수학, 때로는 법의학과 같은 관점으로 접근하기도 하는데 이 책은 그중에서도 의학과 함께 치유라는 키워드가 핵심이 된다.
예술 작품 속에 인간이 없이 오롯이 풍경만을 담아낸 그림도 있을 것이고 의외로 많은 인물 군상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많든 적든, 아예 없든... 이런 그림들에는 그림을 그린 화가의 심리나 당시의 상황들이 반영되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는 그런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몰랐다면 그저 구도나 그림의 아름다움 정도, 아니면 그림의 디테일한 부분을 좀더 오랫동안 살펴보면서 그냥 지나쳤다면 모랐을지도 모를 요소들을 중심으로 감상했겠지만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의학과 접목한 작품 해석과 감상은 색다른 묘미를 선사한다.
그림 그 자체에 대한 설명도 분명 소개된다. 제시된 그림의 구도라든가, 색감, 주제 등과 관련한 내용, 그림에 그려진 인물들의 관계나 의미 등이 나오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여기에 덧붙여서 '의학적으로 감상해 볼 만한 포인트'라고 해서 따로 코너를 만들어 해당 그림과 관련해 읽어보면 그림이 좀더 색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작품 해석 편에서는 병리적, 윤리적, 심리적, 상징적 해석을 통해서 감상과는 조금 다른 차원의, 그림 그 자체에 대한 해석이나 분석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 감상 편에서는 신화적이거나 종교적 요소를 통해서 해당 그림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데 그 과정에서 색다른 감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피에르 나르시스 게렝의 <모르페우스와 이리스>라는 그림을 보면 꿈의 신과 무지개의 여신이 그려져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잠을 자고 꿈을 꾸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전혀 생각지 못했던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고 또 한편으로는 이런 그림을 통해 화가가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를 의학적으로 접근해 좀더 현실적인 방향에서의 감상법을 제시하는 것도 같아 그림 감상법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책이 아니였나 싶다.